취임 100일 앞 ‘관세 낙관론’ 펴는 백악관…현실은 폭탄 초읽기

2025-04-2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선포한 관세전쟁의 여파가 미국 내에서 현실화하는 가운데, 백악관은 관세 부과의 정당성을 강조하며 여론전을 이어가고 있다. 취임 100일(29일)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함께 관세 정책 옹호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서 “관세가 부과되면 많은 이들의 소득세가 크게 줄거나 심지어 완전히 면제될 수 있다”며 “연간 소득이 20만달러(약 2억9000만원) 이하인 사람들에게 (혜택이) 집중될 것”이라고 했다. 관세 수입으로 세수가 증가한 만큼 소득세를 감면해 소비자 부담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규모 일자리가 이미 창출되고 있으며, 새로운 공장 및 제조시설이 현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다”고도 했다.

베선트 장관도 대중국 관세 협상이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그는 미국 ABC 방송 인터뷰에서 “(합의에 도달할) 길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원칙적 합의와 협정 준수로 관세가 최고치로 치솟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달러 강세, 경제 강세, 주식 시장 강세를 위한 펀더멘탈을 구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 여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고 선을 그었지만, 교섭 사실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그는 ‘중국과 협상 중’이라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을 중국이 부인한 데 대해 “그들은 다른 청중(미국과 맞서는 것을 원하는 중국 국민)을 대상으로 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중국과 관세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재차 발언했지만, 중국은 “미국은 혼란을 일으키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며 정면으로 이를 부인했다.

이미 현실로 나타난 관세전쟁 여파

백악관의 낙관과 달리, 관세전쟁의 부작용은 미국 내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세계 무역 전쟁이 시작된 지 4주가 지난 지금, 트럼프 대통령은 주 정부와 기업 등으로부터 잇따라 소송을 당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패션 대기업 쉬인이 미국 내 자사 제품 가격을 인상해 뷰티·건강 부문 상위 100대 제품 평균 가격이 51%, 가정·주방용품·장난감이 30% 이상 올랐다고 전했다.

물동량은 급감이 예상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로스앤젤레스 항구 운송 물량이 지난해보다 3분의 1로 줄어드는 등 대중국 관세 부과 후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항공화물 예약이 감소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글로벌 해운회사 플렉스포트 최고경영자(CEO)인 라이언 피터슨은 워싱턴포스트(WP)에 미국의 관세 발효 후 지난 3주간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해상 컨테이너 예약이 60% 이상 감소했다고 말했다. WP는 “협상을 통해 새로운 합의가 도출된다고 해도, 무역전쟁의 경제적 영향은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평가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