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규제, 美 LNG산업 더 피해" 美석유협회 들고 일어났다

2025-04-28

오는 29일(현지시간) 취임 100일을 맞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 중심 에너지 정책에 전 세계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고 있다. 주요 에너지 수입국은 물론 미국에서부터 반발이 나오면서다.

27일(현지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미국 석유협회(API)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미 무역대표부(USTR)가 발표한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부문 지배력 강화에 대한 USTR 301조 조치’에 반대하는 서한을 트럼프 행정부에 제출했다. 이 조치에는 2028년부터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운송 시 미국에서 건조된 LNG운반선 이용을 단계적(2028년 1%→2047년 15%)으로 의무화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API는 서한에서 “LNG 생산업체가 해당 규정을 준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연간 340억 달러 규모의 미국 LNG 수출산업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찰리 리들 미 천연가스공급협회 부회장은 FT에 “해당 조치로 LNG 구매자의 비용이 상승하고, 주요 LNG 수출국인 미국의 지위가 위협받을 것”이라며 “USTR에 LNG 운송 관련한 규제 면제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LNG를 수출하고 있다. 미 에너지부(DOE)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LNG 수출량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8830만톤(t)을 기록해 전 세계 1위였다. 에너지기업 쉘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LNG 수출량은 2030년 1억8000만t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 LNG 산업계로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가 수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양종서 수출입은행 수석연구원은 “만약 해당 규제가 발동하면 미국산 LNG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카타르 등 다른 나라 제품으로 기존 수요가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며 “장기적으로는 LNG 공급과잉으로 미국산 LNG의 가격경쟁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보니 반발이 나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동맹국에 밀어내기

미국이 한국·일본·대만 등에 사업 참여를 요구하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동맹국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알래스카 북부 포인트톰슨 가스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1400㎞에 달하는 수송관으로 운송해 액화 처리한 뒤 수출하는 사업으로 초기 사업비만 최소 450억 달러(약 65조원)로 추산된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에서 한국 측은 알래스카 LNG 사업에 관심을 표하면서 조선협력과 함께 주요 의제가 된 상황이다.

미국의 노골적인 프로젝트 참여 압박에 일단 한국 정부가 검토를 시작했지만 신중론이 적잖다. 알래스카는 겨울철에는 땅이 얼어붙는 지역이어서 공사 기간이 10년가량 장기화할 수 있는 데다가 프로젝트를 마치더라도 에너지 가격의 변동성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할 수 있어서다. 영국 BP와 미국 코노코필립스는 2011년, 엑손모빌은 2016년 각각 이 사업에서 철수했다.

현실적으로 국내 기업들의 투자 여력도 크지 않다. 최근 미국 알래스카가스라인개발(AGDC)와 접촉을 시작한 한국가스공사의 지난해 말 기준 총부채는 46조8000억원으로 부채비율은 433%에 달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등 민간기업은 사업 리스크 탓에 투자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가 글로벌 기업은 모두 포기한 사업을 동맹국에 요구한 것”이라며 “우리도 정밀한 타당성 조사가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트럼프 집권 말기까지 최대한 시간을 끌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도 유탄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를 추진하는데 이럴 경우 지속가능항공유(SAF) 구입비에 대한 항공사 세액공제(1갤런당 최대 1.75달러)가 사라진다. 유럽연합(EU)은 2023년 도입한 ‘리퓨얼EU’ 법안에 따라 항공사에 SAF를 일정 비율 이상(2025년 2%, 2030년 6%, 2035년 20%, 2050년 70%) 사용하도록 규제했는데, 유럽 내 노선이 많은 유럽 항공사들의 SAF 구입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