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선 광주시교육감과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이 ‘리박스쿨’ 관련 역사 왜곡 도서 비치에 사과했다. 시교육청은 관내 학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지난달 전수조사를 실시해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 3권을 보유한 사실을 확인했다. 이 책은 해당 초등학교에 근무했던 한 정규 교사가 사업비로 구입한 것으로 선정 절차도 거치지 않았다고 한다. 시교육청은 또한 지역 중학교 교사 2명이 추천사를 써 준 사실도 밝혀냈다.
도교육청에서도 파장이 일었다. 18개 도서관(도교육청 산하 8곳·학교도서관 10곳)에서 26권을 구입했으며, 대출 횟수도 13차례에 이른 때문이다. 아울러 책 발간 당시 도내 교사 4명이 추천서 명단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도의회는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규정하고 이를 진압한 군경의 행위를 ‘암세포를 제거하는 것’에 비유했다”며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광주시·전남도교육청은 전량 폐기토록 조치했다. 늘봄학교에서 초등학생들에게 그릇된 역사 인식과 가치관을 주입하려고 했다. 심지어 전두환을 찬양하며,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청문회에선 리박스쿨의 실체가 일부 드러났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관계자가 관련 기관을 챙겨달라고 교육부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공개 증언까지 나왔다. 국민들은 충격을 받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은 더욱 할 말을 잃었다.
부적격 도서 채택의 정확한 경위를 규명해야 하고, 추천사를 쓴 교사들에 대해서도 위법했던 것인지 촘촘히 살펴봐야 하겠다. 사실관계를 철저하게 조사하고 문제가 있다면 그에 합당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리고 엄중한 인식 아래 재발 방지에 힘써야 한다. 차제에 각급 학교의 책 구매와 비치 등 제도 개선에 착수하고, 일선 교사의 의식 제고를 위한 연수 강화에도 차질이 없어야 할 것이다.
미래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학교 교실에 이념 편향적 시각을 심으려는 나쁜 시도였다. 국론 분열을 획책했다. 악질적인 역사 왜곡·폄훼세력에 대해선 어떤 타협도 없다. 엄한 처벌만 있을 뿐이다. 나란히 입장문을 내고 사과한 광주시·전남도교육감은 나라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상황을 결코 가볍게 여겨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