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교원총연합회(교총) 직원이 전직 간부에게 전·현직 교원들의 개인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총은 국민의힘이 전·현직 교원들에게 ‘교육특보’ 임명장을 발송한 사건이 내부 직원의 개인정보 유출 때문인지 확인하기 위해 수사를 의뢰했다.
교총은 23일 자체 내부 조사를 진행한 결과 “본회 직원이 과거 재직했던 교총 사무총장의 요구로 회원 정보를 전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교총은 징계위원회를 열어 해당 직원을 직위해제했다. 교총은 “진상조사 후 다음 징계위에서 최고 수위의 징계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총은 해당 직원과 교총 전 사무총장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업무방해 혐의로 서초경찰서에 고발했다. 교총은 “이들이 위법적으로 수집한 개인정보가 이번 국민의힘 임명장 발송 사안에 사용됐는지에 대해서도 철저히 수사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오전부터 전국 다수의 교사, 교감·교장, 장학사, 퇴직 교원은 국민의힘 중앙당사 내선 번호로 온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문자메시지에는 ‘OOO님 안녕하십니까, 제21대 대선 국민의힘과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내용과 함께 임명장 링크가 담겼다. 임명장에는 ‘국민의힘 조직총괄본부 시민소통본부 희망교육네트워크 교육특보에 임명함’이라고 쓰여 있었다.
교총에 소속된 다수의 전·현직 교원이 ‘교육특보’ 임명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교총이 교원 개인정보를 유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교총은 의혹이 확산되자 지난 21일 “회원 개인정보를 (특정 정당에) 제공한 사실이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며 “교총 회원을 비롯한 불특정 다수 교원들에게 임명장을 발송한 정당에 강력히 항의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고 했다.
교육계에선 교총이 사안의 파장이 예상보다 커지자 뒤늦게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정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홍섭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부소장은 “오늘 교총의 여러 전국 지부에서 고발장을 접수했는데 교총 본부만 움직임이 없다 뒤늦게 고발에 나섰다”며 “개인정보 유출 정황을 파악하고 있다가 여론이 악화하니 뒤늦게 사실관계를 공개한 것 아닌지 의심된다”고 했다.
국민의힘 교육특보 임명장은 교총 회원을 비롯해 교사노조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합원에게도 전송됐다. 한 교원단체 관계자는 “교총에서 한때 회원가입을 받을 때 동료 교사들의 개인정보를 기입하게 했다”며 “해당 정보까지 특정 정당에 넘어간 것은 아닌지 수사를 통해 확인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