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 최초로 민간 주관으로 진행되는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 수주 과정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위성 본체 개발사업 수주 우선협상대상 기관으로 LIG넥스원이 선정됐지만 경쟁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평가 과정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갈등이 예상된다.
22일 우주항공청과 우주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천리안위성 5호 사업추진위원회는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시스템 및 본체 개발’ 사업의 우선협상 대상 기관으로 LIG넥스원을 선정했다.
천리안위성 5호는 기상위성인 천리안위성 1호와 천리안위성 2A호의 임무를 승계할 기상위성으로 국내 첫 민간주관 위성개발 사업이기도 하다. 2031년까지 7년간 총 6008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시스템 및 본체, 기상탑재체, 우주기상탑재체 등의 과제로 구성된다. 이 중 3238억 원 규모인 시스템 및 본체 개발사업을 민간이 주도한다.
KAI는 추진위가 이달 1일 LIG넥스원을 우선협상대상기관으로 선정한 것에 대해 10일 이의제기 신청을 접수했다. KAI는 “선정된 LIG넥스원이 위성 시스템이나 본체 개발을 수행할 실적이 거의 없고, 위성 조립 및 시험 설비도 갖고 있지 않다”며 선정 과정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기술평가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다. 사업을 공고한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이의제기 30일 이내 답변해야 하는 절차에 따라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