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 전환에 따라 유학생 유치가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학생 정책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제15회 국가인재양성전략 포럼'에서는 '라이즈 시대, 외국인 인재의 전략적 유치와 활용'을 주요 주제로 다뤘다. 참석자들은 유학생을 포함한 이민자 정책에 관한 체계적이고 세분화 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민숙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은 “유학생 유치 관련 정책에 비해 유학생 취업, 정주 성과 목표는 불명확하다”고 지적하면서 “중앙정부 차원의 단기 전략과 중장기 전략은 세분화해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유학생의 양적 확대 목표에 집중하면서 교육의 질 저하,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부분도 개선이 필요하다. 민 연구위원은 “유치, 양성, 취업으로 이어지는 단계적 전략 마련과 세부 성과 목표 설정을 통해 정책의 운영 속도를 조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창원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해외 인재 유치 정책은 대학과 지역의 필요에 의해서만 담론이 이뤄지다 보니 인재 유치 필요성만 강조되고 다양한 인재에 대해 고민이 부족하다”며 “인재에 대한 정의를 세분화해 인재 수준과 욕구를 고려한 맞춤형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재 수요와 기업 수요 간 미스매치를 지적하는 의견도 있었다. 서동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혁신지원실장은 “그동안 대학에서는 유학생 유치와 교육,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어 졸업 이후 진로나 취업에 대한 준비는 부족했다”면서 “일반대 유학생의 70%가 인문사회계열에 집중돼 이공계 수요가 많은 기업과 전공 미스매치도 심하고, 실제 유학생의 국내 취업이 저조하다”고 밝혔다.
조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국제협력실장은 전문대학 측면에서 유학생 유치와 인재 분류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조 실장은 캐나다 사례를 통해 전문대학이 코네스토 대학이 지역 인재 허브로서 지역 경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조 실장은 “전문대학은 지역의 부족산업인력군의 생산가능 인구 공급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는데 반해 인재 분류 측면에서 낮게 평가되고 있다”며 “전문대학은 전문·숙련기능인력, 돌봄인력, 지역정주인력 등 양성 허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학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부터 지역에서는 유학생 유치 전담조직을 구성해 라이즈를 활용한 유학생 지원계획을 단위과제로 속속 선택하고 있다. 유학생을 지역으로 유치해 인재 양성, 취업, 정주의 선순환 체계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대학에서 유치하는 유학생의 질, 짧은 체류 기간, 유학생이 취득하기 까다로운 비자 정책 등 사회적·산업적·정책적 장애물이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