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후 재해복구(DR) 중요성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가 내년 DR 관련 예산으로만 5700억원을 증액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DR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전략계획(ISP)부터 주요 시스템 실시간 DR(AADR) 구축에 이르기까지 DR 체계 전반에 예산을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17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최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에 '국정자원 대전센터 이전 및 이중화 예산' 명목으로 5747억원 추가 예산안을 제출했다.
이는 국정자원 대전 센터 화재 이후 정부 주요 시스템에 대한 DR 대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당시 이재명 대통령도 DR 등 행정망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필요 예산을 신속 집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에 이달 초 더불어민주당과 행안부는 국회 행안위 소관 예산·법률 관련 협의에서 내년도 DR 예산을 증액하기로 했고, 각 부처에 나눠 편성된 DR 예산도 행안부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행안부가 이번에 제출한 DR 예산은 국정자원 본원인 대전 센터 시스템에 국한됐다. 주요 항목으로 △주요시스템과 대국민 필수 시스템 ISP 마련(466억원) △스토리지 DR(1064억원) △중요시스템 서버 DR 신속 구축(4185억원) △대전센터 이전 및 신축 검토 등이 포함됐다.
ISP의 경우 주요 100여개 시스템을 대상으로 이뤄질 계획이다. 실시간 DR(AADR)와 액티브-스탠바이 DR로 나뉘어 각 시스템마다 DR 마련을 위한 전략을 마련한다.
서버 DR의 경우 가장 큰 예산을 배정했다. 대전센터 화재 발생 당시 시스템 장애에 빠른 서비스 복구를 지원하는 서버 DR 체계가 4.3%에 불과했다는 점이 많은 질타를 받았다.
이에 정부는 서버 DR 구축에만 4000억원 가량 예산을 배정했다. 공주센터 등 타 공공 데이터센터에 서버 DR을 구축하는 것 외에 민간 영역(민간 클라우드)에도 거의 절반(1935억원) 가량을 사용하기로 했다.
스토리지 DR도 약 1000억원 책정, 시스템 장애가 발생해도 데이터 무결성(데이터 변경·손상 없는 상태)을 보장할 수 있게 조치한다.
이번 예산안은 대대적 예산 편성과 함께 DR 체계 전반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업계의 긍정적 평가를 얻고 있다. 내년에 ISP뿐만 아니라 구축까지 동시 추진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한다는 점,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한다는 것도 기대감을 높인다.
행안부 관계자는 “예결위 심사를 비롯해 예산당국과 관계부처 협의, 국가AI전략위 TF가 마련할 혁신방안 등에 따라 최종 금액과 세부 내용은 추후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역대 최대’라던 공공주택 인허가, 실제 공급률은 70% 그칠 듯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FBZLC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