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아모레퍼시픽, 수도권 포함 6개 자산 매각한다…"자산 효율화 차원" [시그널]

2025-11-20

아모레퍼시픽(090430)이 수도권을 포함해 6개 자산 매각에 착수했다. 자산 효율화 차원으로 매각이 성사될 경우 약 1500억 원의 현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금 유동성을 확보한 만큼 연구개발(R&D), 해외 법인 확장, 주주 환원 등에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수도권을 포함한 6개 자산을 매각하기 위해 조만간 주관사를 선임할 계획이다. 현재 개별적으로 매각 주관사들을 접촉하는 단계다.

매각 대상은 부산 초량, 대구 동구, 대전 서구, 광주 동구의 지방 사옥과 인천 서구, 경남 김해의 물류창고다. 지방 사옥의 경우 모두 상업지역에 위치해 있다. 부산 초량 사옥은 아모레퍼시픽의 부산 사업을 담당하는 지점이다. 연면적은 4224평(1만 3964㎡)으로 부산의 중심 도로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김해와 인천 물류창고의 연면적은 각각 3168평(1만 473㎡), 3284평(1만 857㎡)이다.

시장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이 6개 자산을 모두 매각할 경우 1500억 원 안팎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목되는 점은 아모레퍼시픽이 자사주 매입·소각, 배당 등에 나설지 여부다. 최근 뷰티 업계는 중간배당 등을 실시하면서 주주 환원 정책을 강화하는 기조다. 에이피알(278470)은 올해 7월 1343억 원 규모로 중간배당을 실시했으며 올해 증시에 입성한 달바글로벌(483650)은 이달 중간 배당에 274억 원을 쓰겠다고 공시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현재까지 중간배당을 실시한 적이 없다.

화장품 R&D와 해외 사업 확장에 투자할 가능성도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올 3분기 매출은 1조 1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1% 늘어난 919억 원을 기록했다. 해외 사업 매출의 경우 4408억 원으로 3%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영업이익은 73% 증가한 427억 원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시장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이 미국 등으로 판매 채널 다변화에 적극 투자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자산 효율화 차원에서 부동산 매각 등을 검토 중”이라며 “자금의 활용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방 자산인 만큼 실제 매각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공산은 크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오피스 평균 공실률은 8.9% 수준이다. 서울은 5.3%로 낮았으나 충북 31.5%, 경북 24.9% 등 지방은 대부분 20%대를 넘어섰다. IB 업계 관계자는 “지방 자산의 경우 실제 매각이 성사되기 어려운 만큼 매도자와 인수자 간 이견을 좁혀 빠르게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