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트럼프 2기’ 전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러브콜에 ‘K조선’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는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본격화하겠단 계획을 내놨지만, MRO의 수익성을 위해선 한·미 정부 간 안보 파트너십을 재확인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업의 숙련인력 부족 문제도 풀어야 할 숙제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 해군은 지난 8일 지난해 295척인 군함을 2054년까지 390척으로 늘린단 목표를 세웠다. 앞으로 30년간 새로 도입할 군함이 364척, 새 군함 도입에 총 1조750억 달러(약 1572조원)로 연평균 401억 달러(약 59조원)를 투입할 예정이다. CBO는 또 보고서에서 “미국 내 조선소의 건조 용적이 지금보다 평균 50% 늘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미 해군 정보국(ONI)에 따르면 미국 조선소의 생산 능력은 연간 10만GT(총 톤수)로 중국(2325만GT)의 0.5%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 함정 건조 시장에 대한 기대 속에 국내 조선업계는 유지·보수·정비(MRO) 사업부터 속속 뛰어들고 있다. HD현대는 지난 13일 경영진 신년 간담회에서 올해 2~3척 이상의 미국 함정 MRO 사업을 수주하겠단 목표를 밝혔다. 구체적으로 “올 2월 미 함정 MRO 입찰에 참여할 것”이라고도 했다. 지난해 미 함정 MRO 2건을 수주한 한화오션은 현지 조선소를 앞세워 사업을 확대한다. 지난해 1억 달러(약 1460억원) 들여 인수한 미국 필라델피아 필리 조선소 인력을 현재 1700명에서 10년 내 4000명까지 늘리겠단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미국 함정 MRO를 따낸다고 무조건 이익이 보장되는 건 아니다. MRO 수주 확대와 수익성 보장을 위해선 미 해군의 전투함 MRO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는 비전투함에만 제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한화오션이 수주한 MRO도 군수지원함·급유함 등 비전투함이었다. 예비역 해군 준장 출신인 신승민 부산대 초빙교수는 “일본은 십수년 전부터 요코스카 기지의 미 7함대 함정을 수리하며 현지에 공급망을 다 갖춰놨다”라며 “후발 주자인 한국은 기술력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안보 파트너십 강화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미국과 일본은 지난해 4월 정상회담에서 미 해군 전투함의 일본 내 수리를 합의하는 등 국방 협력을 강화했다.
전문가들은 또 조선업이 인력 양성 등 내실을 함께 다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국내 조선3사는 1100억 달러(약 160조원)의 수주 잔량 기록하며 4년 치 일감을 확보했지만, 고질적인 숙련 인력 부족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조선 업종의 인력 미충원율은 14.7%로 산업 평균(8.3%)을 웃돈다. 이유는 ‘임금 등 근로조건 불만족(42.4%)’ ‘구직자 기피 직종(27.1%)’ 순이었다.
실제로 업계에선 국내 조선3사 정규직 대비 하청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50~70% 선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업의 하청 근로자 비율은 62.3%(2022년, 고용노동부 조사)로 전체 산업 평균(17.9%)의 3배가 넘는다. 이는 젊은 인력이나 숙련 인력이 조선업에 오래 버티지 못하는 이유로 꼽힌다. 김명현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외국인 노동차가 충원되며 전체 인력 규모는 회복했지만, 항공·자동차 등 다른 업종과 달리 전문 숙련공이 부족하다”라며 “원·하청 이중구조가 고착화된 상태에서, 저임금 외국인 노동자가 늘자 내국인 근로자의 임금 수준도 정체됐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