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nongmin.com/-/raw/srv-nongmin/data2/content/image/2025/02/11/.cache/512/20250211500044.jpg)
고즈넉한 덕수궁 돌담을 따라 걷다가 국립정동극장을 지나면 우측으로 들어가는 골목길이 나온다. 그 길로 들어가면 2층 구조의 붉은 벽돌 건물이 보인다. 이 건물은 대한제국 시기 고종이 편전(임금이 평소 정무를 처리하는 궁전)으로 사용했던 중명전(重眀殿·사진)이다.
중명전 터는 원래 선교사들이 모여 살던 곳이었으나 1897년 경운궁(지금의 덕수궁) 구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궁전으로 편입됐다. 1899년경 이 자리에 황실도서관을 지었다. 수옥헌(漱玉軒)으로 불리는 1층 서양식 건물이었다. 하지만 1901년 발생한 화재로 소실됐고, 이후 러시아 건축가 아파나시 세레딘 사바틴에 의해 2층 벽돌 건물로 재건됐다. 1904년 경운궁에서 큰불이 나자 고종은 이곳에 기거하며 정사를 돌봤다. 이름도 중명전으로 바꿨다. 중명은 ‘광명이 계속 이어져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주역(周易)’에서 따온 것이다.
하지만 그 뜻과는 달리 굴곡진 역사가 펼쳐졌다. 중명전은 1905년 일제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늑약이 체결된 아픈 역사의 장소다. 1907년 고종은 을사늑약이 일본의 강압에 의해 체결된 부당한 조약임을 알리고자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 이준·이상설·이위종을 비밀리에 보냈으나 일제의 방해로 실패했다. 그 결과 고종은 그해 일제에 의해 강제로 퇴위했다.
중명전은 1910년 한일병합조약 이후 외국인들의 사교클럽으로 사용됐다. 광복 이후에는 국가가 중명전을 소유·관리하다가 1963년 한국으로 귀국한 영친왕과 이방자 부부에 소유권을 이전했다. 하지만 영친왕이 사망한 이후 다시 민간에 위탁·매각됐고, 이 과정에서 중명전은 점차 역사성을 상실해 일반 건물로 전락했다. 문화재청에서 2006년 매입한 뒤 고증을 통해 대한제국 시기의 모습대로 복원해 현재의 모습을 찾게 됐다.
을사늑약 체결은 조선의 백성들에게도 침통하고 참담한 상황이었고 아주 치욕적이고 슬픈 날로 새겨졌다. 1905년 이후 몹시 쓸쓸하고 어수선한 느낌이 들 때면 을사년의 그 기분 같다고 해서 ‘을사년스럽다’고 했던 말이 세월이 지나 ‘을씨년스럽다’로 변했다.
을사늑약이 있은 지 120년이 지난 2025년의 국내외 정세가 무척 을씨년스럽다. 한치 앞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국가의 큰 위기가 올 때마다 지혜와 단결로 극복한 대한민국 백성의 저력을 믿고 춥지만 청명한 하늘을 바라보며 희망을 담아본다.
![](https://www.nongmin.com/-/raw/srv-nongmin/data2/content/image/2025/02/11/.cache/512/20250211500045.jpg)
이규혁 건축가·한옥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