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팅 파워→AI 응용, AI 투자 방향 중심축 전환
최근 A주, AI 응용테마 강세, 알리바바 이슈 배경
개인 AI 어시스턴트 '큐원 앱' 공개, 챗GPT와 경쟁
고성장성, 연계성 높은 '찐 알리바바 테마주' 선별
이 기사는 11월 19일 오후 3시2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최근 중국 주식시장에서 인공지능(AI) 응용 테마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IT 기업들이 AI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신제품을 잇달아 출시하는 등으로 AI 응용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 연계 시장의 높은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더 높이는 배경이 되고 있다.
특히, 중국 국내에서는 알리바바(9988.HK)가 자체 개발한 개인용 AI 어시스턴트 첸원(千問∙Qwen) 앱을 공개하며 C엔드(개인용) AI 어시스턴트 시장으로의 본격 진출을 선언한 것이 시장에서 AI 응용 테마의 강세장을 이끈 강력한 자극제가 됐다.
중국 본토 A주 시장에서는 알리바바 테마주의 상한가 랠리가 연출되고 있어 주목된다. 알리바바 큐원 생태계의 고속 발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알리바바와의 연계성이 높은 '찐 고성장 테마주'를 선별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 컴퓨팅파워→AI응용으로 중심축 전환
최근 중국 주식시장에서 인공지능(AI) 응용 테마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AI 응용 테마주의 상승모멘텀을 확대한 이슈들이 속속 등장한 데 따른 것이다.
우선, 워렌 버핏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처음으로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 주식 1784만6000 주(시가로 약 43억4000만 달러)를 매입하며, 구글을 상위 10대 보유 주식 목록에 추가했다는 소식이 핵심 배경이 됐다.
여기에 중국 대표 빅테크 알리바바가 자체 개발한 개인용 AI 어시스턴트 첸원(千問∙Qwen) 앱의 공개 베타 테스트 시작했으며, 오픈소스라는 경쟁력을 앞세워 B2C(기업-소비자) AI 어시스턴트 시장에서 챗GPT와 전면 대결을 시사한 것이 강세장의 촉매제가 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알파벳 주식 매입으로 인해, AI 테마를 추종하는 글로벌 자본 시장의 시선이 컴퓨팅 파워에서 대형언어모델(LLM) 및 AI 응용 분야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기술 대기업들은 최근 AI 응용 분야에서 새로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해외에서는 11월 12일 오픈 AI가 GPT-5를 업그레이드한 새 모델 GPT-5.1 인스턴트, GPT-5.1 씽킹을 공개했다. 해당 모델은 사용자들과 더욱 자연스럽고 지능적인 대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가장 최근인 11월 18일 구글이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Gemini) 3.0을 출시하며, AI 응용 시장에서 펼쳐질 새로운 경쟁 국면을 예고했다.
중국 국내의 경우 11월 13일 바이두(9888.HK)가 로보택시 전용 호출 서비스 브랜드 '뤄보콰이파오(蘿蔔快跑)', 디지털 휴먼 인터넷 생방송 플랫폼 '후이보싱(慧播星) 디지털 휴먼' 등 다양한 AI 응용 제품을 더욱 가속화하고 해외 진출을 가속화 하고 있음을 밝혔다.
11월 17일에는 앞서 언급했듯 알리바바가 개인용 AI 어시스턴트인 큐원 앱의 공개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며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공개했다. 베타 테스트 첫날 큐원 앱은 시장의 높은 관심 속에 트래픽 과부하가 걸리며 일부 서비스가 지연되고 중단되기도 했다.
화서증권(華西證券)은 "알리바바가 큐원 프로젝트를 통해 AI 전략을 확장하는 동시에 B2C(기업-개인, 개인용)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버전 큐원 앱도 개발하며 해외시장에서 챗GPT와의 경쟁을 본격화하게 될 것"이라고 평했다.

◆ 중국 AI 기술력의 진화를 보여준 '첸원'
알리바바는 17일 공식 웨이보를 통해 인용해, 자체 개발한 개인용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 첸원(千問∙Qwen) 앱(APP)의 공개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첸원'은 세계 최초의 오픈소스 대모형(大模型, 대형언어모델
전면 무료로 개방돼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무료 정책과 다양한 생활 서비스 생태계와의 결합을 통해 미국 '챗 GPT'와 전면 경쟁에 나설 전망이다.
알리바바 핵심 경영진은 첸원 프로젝트를 'AI 시대의 미래 전쟁'으로 규정하고, 단순히 사용자와 대화하는 수준을 넘어 실제로 일을 처리할 수 있는 AI로 첸원을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목표 하에 지도, 배달, 티켓 예매, 오피스, 학습, 쇼핑, 헬스케어 등 다양한 생활 서비스 분야를 첸원 앱에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첸원이 더욱 강력한 실질적 업무 수행 능력을 갖추고, 사용자의 일상 속에서 언제든 활용될 수 있는 'AI 생활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앞으로 몇 개월 내에 알리바바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점진적으로 에이전틱 AI(agentic-AI) 기능을 추가할 것이며, 이를 통해 타오바오 등을 포함한 알리바바 산하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쇼핑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초 3800억 위안을 AI 인프라 구축에 투입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알리바바는 그간 주로 B2B(기업-기업, 기업용) AI 응용 시장에 집중해왔다. 이번 개인용 큐원 앱 개발은 B2C(기업-소비자, 개인용) 시장 진출의 본격 행보를 알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챗GPT와 전면 대결 나선 '알리바바'② 고성장 테마주 선별전략>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