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종목코드: INTC) 이 데이터센터용 새로운 인공지능(AI) 칩을 공개하면서 AI 칩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인텔은 14일(현지 시간) 미 산호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오픈 IT 생태계 개발자 회의인 오픈컴퓨트(OCP) 글로벌 서밋에서 추론 특화 데이터센터용 GPU '크레센트 아일랜드(Cresent Island)'를 공개했다
사친 카티 인텔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새 칩이 에너지 효율에 최적화되고 AI 애플리케이션 구동 혹은 추론 등 광범위한 사용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AI 추론에 특화된 이번 칩은 (생성형 AI 시대에 걸맞는) 토큰 경제성과 성능·비용 측면의 효율을 지녀 최고의 가성비를 구현한다"고 말했다.
크레센트 아일랜드는 고성능·고비용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지배하는 AI 학습 대신 철저히 추론 시장을 겨냥했다.
AMD와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AI 칩이 사용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보다 속도가 느린 모바일 D램을 사용하지만 160기가바이트(GB) 고용량 탑재로 AI 추론 요구에 대응했다.
새 칩은 인텔이 소비자용 GPU에 사용하는 설계를 토대로 했다.
카티 CTO는 인텔이 "AMD, 엔비디아, 자체 칩을 생산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들처럼 매년 새로운 데이터센터 AI 칩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고객들이 다양한 판매자의 칩을 골라 사용하는 개방되고 정형화된 방법을 지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엔비디아와 제휴는 판매되는 모든 AI 시스템에 인텔 CPU가 탑재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AI 칩 경쟁에서 밀리며 고통의 세월을 보낸 인텔의 경영진은 AI 칩과 시스템 시장 탈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가우디 칩과 팔콘 쇼어스 프로세서 프로젝트를 연기시킨 후 AI 부문에서 노력을 배가할 것이라고 다짐한 바 있다.
한편 엔비디아는 지난달 인텔에 50억 달러를 투자하고 지분 4%를 취득했다. 양사는 PC와 데이터센터용 칩을 공동개발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의 투자로 인텔이 GPU를 포기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도 했으나 인텔은 이번 '크레센트 아일랜드' 공개로 이를 불식시켰다. 업계에선 중저가 AI 칩 시장에서 독자 영역을 지켜나가겠다는 의도라는 평가가 나왔다. AI 붐에 편승해 내장 그래픽처리장치(GPU) 설계에 고용량 모바일용 메모리를 더해 저렴한 가격으로 추론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kongsik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