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7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최종 순회경선은 그야말로 파티 분위기였다. 8000석 행사장에 당원 1만5000명이 찾았다. 대부분 파란색 티셔츠를 입었으나, 유달리 반짝이는 옷을 입거나 응원봉을 손에 쥔 당원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행사 전부터 음악에 맞춰 펄쩍펄쩍 뛰거나 “대통령 이재명” 구호를 연호했다.
엿새 뒤 열린 국민의힘 5·3 전당대회도 같은 장소에서 열렸다. 무대·의상 색깔만 빨간색으로 바뀌었을 뿐 분위기는 비슷했다. 빨간 풍선을 손에 든 당원이 저마다 지지 후보 이름을 외쳤고, 김문수 후보의 선출이 공식화되자 환호성이 울렸다. 당 관계자는 “최종 결승 느낌은 아니었는데도, 당원 열기만큼은 뜨거웠다”고 말했다.

늘어난 당심 규모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민주당 경선에는 권리당원 114만명 가운데 69만명(투표율 60.47%)이 참여했다.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이란 말에도, 당원 투표율은 지난 대선 경선(57.46%)보다 3%포인트 늘었다. 국민의힘 3차 경선에선 책임당원 76만명 가운데 40만명(투표율 52.62%)이 투표했다. 책임당원은 20만명, 투표 인원은 4만명 늘었다.
개혁신당·진보당 같은 소수 정당까지 더하면 21대 대선 경선에서 ‘당원 투표권’을 행사한 사람만 116만명에 달한다. 18세 이상 유권자 중 2.64% 규모다. 투표하지 않았어도, 당내 선거권이 있는 당원을 전부 합치면 그 숫자는 202만명(유권자의 4.6%)으로 늘어난다. 국민 22명 가운데 1명꼴로 진성(眞性) 당원인 나라가 됐다는 얘기다.
당원의 숫자는 훌쩍 늘었으나, 당의 담론 생산 능력은 과거와 별 차이 없다. 그 빈틈을 파고든 게 진영 유튜버다. 법 제도의 문제도 있다. ‘동원된 당원’이 대부분이던 2004년 만들어진 정치관계법이 ‘200만 진성 당원 시대’를 규율하고 있다. 그래서 정치권 일각에선 규모가 커진 당원의 활동 무대를 만들기 위해 지구당 제도를 부활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불법 정치자금’까지 부활할 거란 우려도 만만치 않다.
반대로 당비를 내는 당원이 늘어난 만큼, 정치후원금 세액공제나 정당보조금 같은 직접적인 국고 투입을 손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2023년 기준 정치후원금 세액공제로 투입된 국비는 연간 94억원으로 5년 전(48억원)보다 2배가량 늘었다. 전국 정당이 아닌 지역 정당도 설립할 수 있게 정당법을 고쳐 영·호남의 거대 정당 기득권에 파열음을 내자는 아이디어도 있다. 6·3 대선 이후 개헌과 함께 국회에서 따져볼 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