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지사 후손‧민족통일광복회,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퇴진 요구 100일' 국회 기자회견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퇴진 요구 100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독립지사 후손들이 국회를 찾아 김형석 관장의 즉각 사퇴와 국가보훈부의 신속한 감사 결과 공개를 촉구했다.
독립지사 후손들과 민족통일광복회는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적 신뢰를 상실한 책임자는 독립기념관을 이끌 수 없으며 그 자리에 머무는 것 자체가 역사와 후손에 대한 모욕"이라며, "친일 망언을 한 김형석 관장이 퇴진하고 독립기념관이 정상화되는 날까지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9월 17일 국가보훈부는 김형석 관장에 대해 독립기념관 특정감사에 착수했다. 독립기념관 사유화 의혹, 업무추진비 및 예산 집행 부적정, 복무 실패 및 관장 직무 적합성, 기관장 권한 운용의 공정성 및 투명성 등"이라며, "감사는 연장되었고 최종 보고서도 미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감사 착수’ 자체가 이미 국가가 확인한 중대한 문제임을 의미한다. 공적 신뢰를 상실한 기관장이 공공기억기관을 계속 운영하는 것은 기관 안정성과 행정 신뢰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국민의 세금과 국가 상징기관의 존엄을 위태롭게 하는 행동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김형석 관장은 과거 공식 석상에서 광복은 연합군 승리로 얻은 선물이라는 발언을 했다. 이는 단순한 실언이 아니다"며, "독립운동의 주체성 축소, 선열의 희생과 가치 훼손, 대한민국 건국 역사 서사 왜곡 등 공공기억기관의 기관장이 역사적 사실을 이렇게 경시하는 것은 직무 수행 능력과 전문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행위다. 독립기념관장은 역사교육과 연구, 전시의 최종 책임자다. 그 기본적 책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사람은 기관장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독립기념관은 국가의 기억과 공공적 합의가 모인 공간이다. 그러나 관장 체제에서 나타난 문제들은 기관의 신뢰와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했다. 사적 영향력 개입 의혹, 예산 집행 투명성 부족, 후손 및 시민사회단체와의 지속성 갈등 등"이라며, "공공기관은 정치적 중립성과 투명성, 전문가 자율성을 필수로 한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기관장은 즉각 물러나야 하며, 국가는 기관 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김형석 관장은 즉각 사퇴하고, 국가보훈부는 특정감사 결과를 즉시 신속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국민은 행정행위 전 과정을 획인할 권리가 있으며, 투명성 확보 없이는 정책 신뢰도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독립기념관은 국민적 합의와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운영돼야 한다"며 "사유화, 불투명 운영, 권한 남용 논란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운흥 독립지사 후손으로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청년 오주현 씨는 "독립기념관은 특정 개인의 권한과 관점이 지배할 공간이 아니라, 국민 모두의 기억과 희생이 축적된 국가적 공공재이다. 오늘 우리가 침묵하지 않는 이유는 단 하나다. 국가기억체계와 역사정책은 흔들려서는 안되며, 공공기관은 공적 기반 위에 운영돼야 한다"며, "독립기념관의 공공성과 역사정의를 훼손하는 모든 시도는 국민의 이름으로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8월 20일, 이해석(이재만 독립지사 후손)씨를 비롯한 독립지사 후손들은 독립기념관에서 점거 농성을 시작했다. 김형석 관장이 지난 8월 15일 광복절 기념사에서 '광복은 연합국 선물'발언 직후, 김 관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행동에 나선 것이다.
[전국매일신문] 정영선 기자
jys2030@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특검 ‘내란 방조’ 한덕수 징역 15년 구형](https://newsimg.sedaily.com/2025/11/26/2H0LSB48QP_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