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국가인재경영연구원, “G3국가 향한 대한민국 인재혁명” 비전 제시

2025-04-30

핵심 인재의 질적 저하와 산업 인재의 해외 유출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회복을 위해 국내 인재 정책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가인재경영연구원은 30일 'G3(3대 강국) 국가를 향한 대한민국 인재혁명'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첨단기술과 핵심인재를 통한 국가경쟁력 혁신을 위한 새로운 정책 방향과 전략을 발표했다.

연구원은 의대 정원 확대 논란과 과학기술 분야 연구비의 급격한 삭감 등으로 인해 과학 기술계 인재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유망 인재들의 해외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고 비전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두 가지 큰 축을 중심으로 인재 정책 전략을 제안했다.

먼저 '4대 정책영역'으로 ▲인재 양성 및 활용 ▲인재 유치 ▲인재 유출 방지 ▲인재 전환·재배치를 설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5대 핵심인재 분야'인 ▲산업인재 ▲공직인재 ▲교육인재 ▲국방인재 ▲정치인재의 구체적인 정책 목표와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4대 정책영역의 목표는 2035년까지 첨단과학 인재 50만 명을 육성하고, 외국인 전문인력 30만 명을 유치해 국내 외국인 취업자 중 30%를 차지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향후 10년 내 세계 두뇌유출지수(IMD 기준) 10위권 진입과 함께, 기존 인력 50만 명을 재교육해 첨단산업 분야에 재배치한다는 구상이다.

정책 실행을 뒷받침할 새로운 국가운영체계도 제안했다. ▲국가 전략 수립을 담당하는 '국가전략원' ▲핵심 인재 확보와 재정 책임을 지는 '국가재정원' ▲공직 인재 육성과 배치를 담당하는 '국가인재원' ▲공정한 채용을 위한 '국가채용원' 등 4개 기관 신설이 주요 내용이다. 이는 기획재정부, 대통령실, 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등의 기능을 통합·보완해 국가 차원의 인재경영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5대 핵심인재 분야별 전략도 구체화했다. 산업 분야에서는 과학·기술·창업 인재 양성과 장기 프로젝트 중심의 직업교육체계 통합을 추진하고, 공직 분야는 정무직 및 공공기관장에 민간 전문가를 적극 등용하며, 직무 중심의 맞춤형 채용으로 전환하자는 의견이다. 교육 분야는 세계 수준의 교수진 확보와 교사 대상의 대학원급 재교육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이다.

국방 분야는 군을 인재 양성기관으로 전환하고 전역 인력의 첨단산업 취업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정치 분야는 생애주기별 민주시민교육을 확대하고, 이를 전담할 독립 위원회와 교육원 설립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민경찬 이사장은 “전 세계가 기술 패권과 우수 인재 확보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시대”라며 “대한민국도 인재 생태계 혁명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인재경영연구원은 정부, 국회, 민간 등과 협력해 인재정책 플랫폼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승은 기자 evelin@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