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자율주행 생태계 경쟁력 제고 방안

2025-10-09

자율주행 자동차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교통안전, 산업 경쟁력, 도시 혁신을 포괄하는 미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프레세덴스 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1583억달러(약 230조4000억원) 규모로 평가되고 있다. 연평균 35%의 성장률로 2032년까지 2조3539억달러(약 3425조6000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센서 기술, 연결성의 지속적인 발전은 자율주행차 기능을 향상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인식과 의사 결정, 전반적인 시스템 신뢰성 향상으로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최근 AI와 소프트웨어(SW) 융합, E2E(End-to-End) 모델, 중앙 집중형 아키텍처 등 자율주행 핵심 기술의 구조적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와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며 인지, 판단, 제어 기술 고도화로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다.

자율주행 산업과 정책 전반에 능동적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지만, 상용화 수준의 차량용 컴퓨팅 성능, 제어 능력 확보는 미비하다. 주행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 완성도가 역시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 완성차, 부품사, 플랫폼 등 산업 주체 간 기술 격차와 협업 부재 등 산업 생태계의 구조적 한계로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다.

기술 발전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메울 국가 차원의 전략적 재정비는 시급한 과제다. 2027년 레벨 4+ 자율주행 상용화 기반 완성이라는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해 E2E, SDV 등 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하고 공백 기술을 발굴하는 기술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산학연관 역량을 결집한 정책 수립과 기술은 물론 인프라, 제도, 서비스 전 분야의 유기적 연계를 추진해야 한다. 자율주행 서비스를 도심은 물론 인구 감소 지역 등 전국으로 확산시켜야 한다. 기술 주권 확보와 자율주행 상용화 촉진을 위한 단계별 추진 전략, 정책 이행 기반, 실현 가능한 정책적 실효 도출도 필요하다.

특히 레벨4 자율주행 실현을 위해서는 피지컬 AI 기반 기술 개발과 국제 기준 체계와의 적합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현재 유엔(UN) 산하 국제 자동차 기준 포럼인 WP.29에서는 자율주행 안전을 담당하는 GRVA, 산하 AI 워킹그룹(IWG on AI)이 활동 중이다. 국제표준기구 ISO도 AI 학습 데이터 품질과 투명성에 관한 기준(ISO/PAS 8800)을 마련했지만, 여전히 제도화는 초기 단계다.

우리나라는 5G와 6G 통신망을 비롯해 K-City, 자율주행 시범 지구, 레벨 3 상용화 경험, 반도체 경쟁력 등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했다. 이를 토대로 미래 모빌리티, K-AI 시티 실현을 위한 국가 정책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대한민국이 AI 자율주행 인증 체계를 선도하는 전략적 기반을 마련하고, 국제 사회에서 신뢰받는 표준 제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

유연하고 미래지향적인 규제 프레임워크와 AI 안전성 평가의 정량화된 지표 도입, 투명성과 책임성 등 AI 윤리의 기술 표준화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다양한 지표를 통해 인간 수용성에 기반한 AI 검증 체계도 필요하다.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는 만큼 관련 법규와 규제에도 유연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하성용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회장·중부대 교수 hsy1396@naver.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