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병기 신임 공정거래위원장이 “특정 집단과 집중된 경제력, 소수의 경제적 강자가 정치·경제적 권력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막는 ‘길항권력’을 키우는 것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라며 대기업 등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예고했다.
주 위원장은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길항권력의 선봉에 공정위의 사명이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주 위원장이 이날 길항권력에 대해 구체적 내용을 소개하지는 않았지만 미국의 진보 경제학자인 존 갤브레이스가 1952년 발표한 저서 ‘미국 자본주의’에서 주창한 개념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주인도 미국 대사 등을 역임한 갤브레이스는 기업 권력을 사회적으로 제어해야 한다는 이론 틀 위에서 노조와 소비자단체, 정부 규제로 대기업 집중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한 인물이다. 독과점 기업 등장에 따른 시장 실패와 특정 기업의 과도한 영향력 확대를 막아야 한다는 개념을 주 위원장이 공정위의 사명으로 언급한 것이다.
실제로 주 위원장은 이날 대기업 및 기업집단에 대한 규제 및 감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 위원장은 “소수 대기업 집단으로의 경제력 집중 문제, 대·중소기업 간 불균형 성장 등으로 구조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시장 시스템의 혁신 역량은 빠르게 쇠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법 위반 행위에 대한 처벌 강도를 그 행위에서 얻는 잠재적 이익을 현저히 초과하는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말했다.
주 위원장이 취임사에서 “경제적 약자가 가맹본부, 원사업자 등 경제적 강자에 대항할 수 있도록 협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하는 등 ‘경제적 약자’를 5차례 언급한 것도 그가 언급한 ‘길항권력’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기업집단 내의 사익 편취, 부당 지원 등 나쁜 인센티브에 대한 감시의 고삐를 단단히 죄겠다”며 “기술 탈취, 부당 대금 지급 등 중소·벤처기업의 성장 기반을 훼손하는 불공정 관행을 근절하겠다”고도 밝혔다.
한편 이날 주 위원장은 공정위의 역할과 거리가 먼 에너지 정책도 언급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주 위원장은 “화석 연료를 태워 이룩한 산업화가 지구 환경과 미래 세대의 생존을 위태롭게 만드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화석연료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에너지 전환에 신속히, 성공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