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땀한땀 깨알같이 찾았다, 100년 전 경성의 낮과 밤 [BOOK]

2025-09-05

경성풍경

김상엽 지음

혜화1117

‘지도와 사진으로 만나는 근대 서울의 원형’이란 부제의 이 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면 저자의 지난 10년 세월에 존경심을 품게 된다. 그는2015년 우연히 ‘대경성부대관’이라는 일제강점기(1936년) 파노라마 지도의 진면목을 접하고는, 1933년 제작된 ‘경성정밀지도’와 포개놓고 당대의 경성을 조망하고 싶다는 열망에 빠졌다. 하지만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미국 사무소장 등 생업을 이어가던 중에 ‘자료 욕심’이 과해지면서 작업은 더디게 흘렀다. “몇 년 새 경성을 다룬 새로운 자료들이 쏟아진 터라, 일찍 안 낸 게 되레 다행스럽다”고 전화기 너머 저자가 넉넉한 웃음으로 말했다.

두툼한 두께(1080쪽)의 책을 감싼 표지를 펼치면 그 자체가 ‘대경성부대관’ 지도다. 항공사진에 기반한 덕에 건물 입체도가 뚜렷하다. 책은 경성 전역을 78개 권역으로 나눈 뒤 ‘경성정밀지도’의 촘촘한 정보에 힘입어 주요 건물 620여 곳 위치를 표시했다. 갖은 발품 팔아 곁들인 사진 1300여장을 통해 당대의 모던 보이, 모던 걸, 풍운아들의 낮과 밤이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이를 통해 거둔 수확도 쫀쫀하다. 가령 오봉빈(1893~1950?)이 1929년 설립한 조선미술관이 광화문 근처 어디쯤이었단 건 알려져 있었지만 정확한 위치는 미궁이었다. 저자는 지도 2개와 관련 사료를 대조해 미술관이 지금의 광화문네거리 근처, 당대 주소로는 광화문통(세종로) 210 광화문빌딩에 있었음을 입증했다(203쪽). 이런 식으로 경성 모더니스트들의 인기 아지트였던 낙랑파라(492쪽), 소설가 박태원의 집(560쪽) 등의 위치가 처음으로 밝혀졌다.

“인문학 전공자로서 경성시대 유곽·술집·학교·미술관 등의 위치가 어디인지, 시대적 흐름이 어땠는지 알아보려다 먼저 ‘좌표 찍는’ 책부터 내게 됐다”는 저자에겐 아직 무궁무진한 자료가 남아 있다. 이번 책이 “미술·건축·생활사 등 각 분야의 경성 연구에 충실한 바탕이 됐으면 한다”는 저자 역시 이미 다음 저술에 돌입했다. 두께뿐 아니라 가격(10만원)까지 만만치 않은 책이 출간 전 온라인서점 이벤트에서 역대 인문 분야 펀딩 1위(약 3000만원)를 차지한 점이 후속작 집필에 든든한 응원이 될 것 같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