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김해, 조류 예방 인력 부족…전국 공항 ‘상시2인 체계로’

2025-02-06

인천국제공항과 김해국제공항의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예방 인력이 현행 기준 대비 6~8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 충돌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주 원인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조류 예방 인력을 확충하는 것은 물론 열화상카메라와 조류탐지레이더 등의 장비를 전국 모든 공항에 구비할 방침이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6일 국회에서 열린 ‘12·29 여객기 참사 진상 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에 출석해 이같은 내용의 조류 충돌 예방 방안을 공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인천·김해 공항이 운용하고 있는 조류 예방 인력은 현행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인천공항 조류 예방 인력은 40명으로 기준(48명) 대비 8명 적었다. 김해공항 역시 24명이 일해야 하지만 실제로 근무 중인 인원은 18명에 그쳤다. 두 곳을 제외한 12곳의 지방공항은 기준치 이상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었지만 총 인원이 적어 주말이나 야간에 활주로당 1명씩 근무하는 일이 빈번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요일이었던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일에도 무안공항에는 조류 예방 인력 근무자는 한 명 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현행 기준에 미달하는 인력을 채우는 것은 물론 공항마다 상시 2인 근무 체계가 작동하도록 조류 예방 인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월 중 공고를 내고 40명을 채용해 총 인력을 190명까지 늘린다. 이후 각 공항 특성을 파악해 조류 충돌 위험이 높은 곳은 인력을 충원하도록 지시할 예정이다.

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장비와 시설도 정비한다. 야간에도 조류를 확인할 수 있게 돕는 열화상카메라와 10km 범위 내에 있는 새 때를 파악할 수 있는 조류탐지레이더를 전국 모든 공항에 구비하는 방식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 공항 중 열화상카메라를 보유한 곳은 인천·김포·김해·제주공항 뿐이다. 조류탐지레이더를 가진 공항은 한 곳도 없다. 국토부 관계자는 “열화상 카메라는 한 대당 500만 원 정도로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며 “조류탐지레이더는 공항마다 설계 용역을 해야해 시간이 필요하다. 올해 시범 도입을 시작해 2026년부터 본격 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조류 예방 인력이 사용하는 엽총 등 장비를 개선하고 차량형 음파 탐지기도 단계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다.

정부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를 키운 주범으로 지목되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 개선도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전국 7개 공항 9개 방위각 시설의 지지대를 지하화하거나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교체하는 방식이다. 국제 권고 기준(240m)의 종단안전구역을 확보하기 어려운 공항에는 활주로 이탈 방지 장치(EMAS) 설치를 검토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조류 예방 활동 강화와 공항 내 안전시설 개선을 추진하는데 3년간 약 2470억 원이 예상될 전망이다. 당장 올해 필요한 예산만 670억 원이다. 정부는 긴급한 시설개선 및 인력 충원에 드는 비용은 한국공항공사가 먼저 투자하고 이후 정부 재원을 들여 후속 보전할 계획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