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 발견한 아열대성 곤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신종·미기록종 아열대성 곤충 발견 비율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6년부터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에 따라 한반도 곤충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수행 중이다. 2020년부터는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발견된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 아열대성 곤충의 비율을 분석하고 있다.
그 결과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에 아열대성 지역 곤충 비율이 ▲2020년 4%(17/425종) ▲2021년 4.4%(19/425종) ▲2022년 5%(19/380종) ▲2023년 6.5%(25/380종) ▲2024년 10.2%(38/370종)로 증가 추세다.
특히 지난해에는 아열대성 기후에 서식하는 미기록종 후보 38종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됐다. 이 가운데 ▲제주박각시살이고치벌 ▲큰활무늬수염나방 ▲노란머리애풀잠자리 등 21종은 제주도에서 최초 확인했다.
곤충은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고 이동성이 강해 환경에 따른 분포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생물이다. 한반도로 북상한 종들이 아열대와 온대의 경계 지역인 제주도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는 사실은 기후변화 영향 때문으로 해석된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곤충의 신규 종 발굴뿐만 아니라 아열대성 곤충 출현 상황 등도 지속적으로 관찰해 향후 관련 정책 마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