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mg.sedaily.com/2025/02/09/2GOWIWY50X_1.jpg)
미국 정부가 수입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함에 따라 미국에 보툴리눔 톡신을 수출하는 대웅제약(069620)과 휴젤(145020)의 가격 경쟁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의약품의 미국 수출액은 13억 5809만 달러(약 2조 원)로 전년 대비 50% 가량 늘었다. 국산 의약품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매년 급증하면서 지난해 75억 3959만 달러(약 11조 원)까지 급증했다. 그 중 미국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18.0%로 헝가리(16.8%)·독일(7.2%)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트럼프 정부가 의약품에 관세를 매기면 막대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트럼프 정부는 ‘국경 관리 및 마약 유입 문제 해결’을 이유로 중국,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관세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의약품과 조선업 등 미국 제조업 재건이 관세 부과의 목적”이라고 언급하며 의약품 관세 부과 의사를 내비쳤다.
여러 의약품 중에서도 국산 톡신에 대한 관세 영향이 우려된다. 애브비의 ‘보톡스’ 대비 약 30%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인기를 끌었던 국산 제품들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용 의약품의 경우 적응증에 따라 대체재가 많지 않지만 미용 목적 톡신은 주로 가격에 따라 시장 수요가 좌우된다.
![](https://newsimg.sedaily.com/2025/02/09/2GOWIWY50X_2.jpg)
실제 대웅제약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미국 제품명 주보)를 국내에서 완제품으로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1158억 원에 달하는 나보타 전체 수출액 중 미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휴젤 역시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미국 제품명 레티보) 품목허가를 받고 첫 수출 물량을 선적한 상태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입 의약품에도 관세가 부과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한다면 관세 부담이 약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며 “특히 미용 톡신을 수출하는 대웅제약과 휴젤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의약품이 국민 건강과 직접 연결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미국 정부도 공격적으로 관세를 올려 약값을 높이기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도 의료 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환자들의 부담이 늘어나길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양한 시나리오별 리스크가 있는 만큼 여러 대책을 준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