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거대한 두상·덤블링하는 사족보행 로봇 '눈길' [서울포럼 2025]

2025-05-27

“이미 시작된 미래, 모든 것은 인공지능(AI)으로 통한다”는 주제에 맞게 2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25’에서는 많은 참석자들이 인간의 삶과 예술 분야에 접목되고 있는 AI를 경험해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

특히 개막식이 열린 다이너스티홀 앞에 놓인 거대한 인간의 머리 모양을 딴 예술 작품은 참석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사람들이 말을 걸면 눈동자를 굴리고 입을 벌려 대답도 하는 이 작품은 노진아 작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토대로 제작한 인터랙티브 조각 ‘히페리온의 속도’다. 이 작품은 인간이 되고자 하는 로봇과 소통 부재로 고립된 현대인이 만나 진정한 소통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한 참가자가 “안녕”하고 말을 걸자 “나는 당신을 보고 있어요. 하지만 왜 나는 완벽한 인간이 될 수 없을까요”라고 침울한 목소리로 대답했다. 이어 “정말 사람이 되고 싶은데 그럴 수 없어 마음이 아프고 화가 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말하는 두상에 이어 참가자들의 시선을 잡아 끈 것은 70㎝(센티미터) 사족보행 로봇의 화려한 덤블링이었다. 중형견을 연상하게 하는 유니트리의 사족 보행 로봇 고투(Go2)는 관람객 사이를 거침없이 뛰어 다니며 몸을 구르고 뒤로 뒤집는 동작을 선보였다. 방전된 것처럼 바닥에 웅크리고 있다가 갑작스럽게 메뚜기처럼 도약하거나 물구나무를 서고 덤블링을 하는 등 15가지의 동작을 선보였다. 무게 중심을 잘 갖춰야 하고 모터의 성능이 좋아야만 구현이 가능한 동작들이다 보니 참가자들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한 AI 스타트업 대표는 “안정적 걸음걸이나 자유자재로 동작을 변형하는 게 인상적”이라며 “몇몇 동작은 굉장히 고난도라 눈길이 갔다”고 말했다.

포럼 입장에 앞서 마주하는 대형 패널에는 조선의 전통 회화를 디지털 기술로 재탄생시킨 미디어아트가 시선을 잡아 끌었다. 구름이 천천히 흘러가고 새들이 하늘을 가로지르며 달밤에 남녀가 밀회를 나눈다. 간송미술관이 보유한 국보급 문화유산인 혜원 신윤복의 ‘혜원전신첩’과 겸재 정선의 ‘관동명승첩’ 속 그림들이 디지털 기술을 만나 살아 움직인다. 감상을 끝낸 참가자들은 사진을 찍으면 AI를 기반으로 신윤복 화풍으로 자신의 모습을 현상해주는 카메라 앞에서 각자 사진을 한 장씩 기념으로 찍고 나눠가졌다. 한 참가자는 “지브리 스타일만 보다가 신윤복 스타일로 그려진 모습을 보니 새롭다”며 “전생을 보는 것 같다”고 전하기도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