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신문 박윤만·김길호 기자] 흑염소 ‘마중물’의 저자인 최순호 박사는 지난 21일 양주축협 회의실에서 흑염소 사육농가 50여 명을 대상으로 ‘흑염소 산업의 문제점과 흑염소 사육 기술’ 교육<사진>을 실시했다.
최 박사는 강의에서 “개고기 식용 종식법 통과로 대체 식육이 부각되면서 흑염소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고 밝히며, “보양식 중심의 소비에서 벗어나 일반 식품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어 향후 산업 성장의 기반이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수요 증가와 함께 사육 열풍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수입 염소고기 물량이 8천400톤 수준까지 증가했으며, 올해는 9천톤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사육 두수 급증에 따라 국내산 염소 가격이 하락해 농가 경영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도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최 박사는 국내산 염소고기의 프리미엄 전략 수립, 흑염소 지역 브랜드 육성, 부업 규모 농가의 판로 다변화, 어린 염소 폐사율 감소 기술 보급, 질병 관리 체계 강화, 양주지역 흑염소작목반 구성 필요성 등을 제시하며 실질적 대응 방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자축 폐사율이 30% 이상으로 매우 높은 점을 언급하며 “초유 급여, 저체온증 예방 등 자축 관리는 흑염소 농가 소득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설사 및 흔들이병 관리 등 분만 직후 신생축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