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글날 579돌 맞아 경축사
"세계가 함께 쓰는 문자로 발전시킬 것"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가 한글의 우수성과 인류애적 가치를 강조하며 "한글은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닌, 세계가 함께 사용하는 문화자산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한글날 579돌을 맞아 9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세계 학자들이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김 총리는 "오늘날 한국어와 한글은 K-팝, K-드라마, 영화 등 K-문화의 뿌리로 자리잡았다"며 "세계 팬들이 한국어 노랫말로 소통하고,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즐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87개국의 세종학당에서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와 문화를 배우고 있다는 점도 소개했다.
그러면서 김 총리는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언론과 뉴미디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고, 세종학당을 확대해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정보 자원 구축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 총리는 "3주 앞으로 다가온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리더들이 새로운 협력과 번영의 비전을 논의할 것"이라며 "정부는 이번 '초격차 K-APEC'을 통해 한글과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끝으로 김 총리는 "한글날을 맞아, 우리의 자랑이자 문화의 터전인 한글이 대한민국에 더 큰 힘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