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도권에 4만~5만석 공연장 추진”…金총리, ‘서울 아레나’ 현장 살펴

2025-11-25

김민석 국무총리는 25일 오전 서울 도봉구 창동 일대에서 건립 중인 ‘서울 창동 아레나 복합문화시설’ 건립 현장을 방문하여 추진상황을 점검했고 국무조정실이 밝혔다. 이번 현장점검은 전 세계적인 K팝 열풍 속에서 K컬처 확산의 핵심 인프라인 공연장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평가다.

민간투자방식(BTO)으로 건립 중인 서울 아레나는 오는 2027년 완공 예정으로 아레나 1만 8000석, 중형공연장 2000석 등 최대 2만 8000명(좌석 1만 8000명, 스탠딩 1만 명)을 수용 가능한 국내 최대의 실내 공연장으로 건립될 예정이다.

국무조정실 설명에 따르면 김 총리는 현장 도착 후 안전모를 착용하고, 직접 호이스트(건설용 리프트)를 탑승하여 건립 현장 곳곳을 점검했다. 서울 아레나 건립 공사를 총괄하고 있는 오지훈 서울 아레나 대표로부터 공사 진행률, 안전성 확보, 관람객 동선 계획 등에 대해 상세히 보고받고, “아레나는 대표 실내 공연장으로 K컬처의 중심이 되는 시설”인 만큼, 안전한 시공과 차질없는 공사를 당부했다.

김 총리는 공연장 추가 확충과 관련해 “5년간 150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국민성장펀드가 문화콘텐츠산업과 공연장 등 인프라에 투자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했고, 더욱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우선 서울 아레나가 예정대로 2027년에 개관해 국내외 아티스트와 팬들이 찾는 글로벌 문화 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서울시가 협업하여 교통, 숙박 등 여러 문제들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포스트APEC의 핵심과제 중 하나가 문화관광 활성화이며 이날 서울 아레나 현장방문을 기점으로 복합 아레나, 문화가 있는 거리, 문화가 있는 시장 등 문화관광프로젝트 중심으로 행보를 이어갈 것임을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현재 최근 5년간 국내 공연 건수는 1.6배, 티켓 판매액은 약 4배 증가하여 세계 7위 규모로 성장한 음악시장에도 불구하고 대형 공연장(1만 석 규모)은 전국에 걸쳐 8개에 불과하며, 그중 서울은 잠실주경기장의 현재 리모델링으로 서울월드컵 경기장이 유일한 상황인 만큼, 공연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날 김 총리는 공연 인프라 확충은 단순한 문화 정책을 넘어 미래 산업 전략이라며 문체부 등 관계부처가 협력해 적극적으로 공연시설을 확충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존의 다목적시설과 체육시설 등을 대중음악 공연장으로 적극 활용되도록 소음방지·음향보완, 무대조명 등 공연편의시설과 잔디 등 시설복구 지원 등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했고, 국회 심의를 통해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정부는 “서울아레나에 이어 청라돔, 고양K컬쳐밸리 등 순차적으로 계획 중인 민간공연 시설의 개관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공연시설 확충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수도권에 4~5만 명 규모의 대형 공연장 아레나 건립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적시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