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과학고나 영재학교 학생들이 편법으로 의대에 진학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탈 방지 제재나 진로 적응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지만 근본 대책은 아닌 것 같다"며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배 부총리는 1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이같은 지적에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교육부와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한 의원에 따르면, 영재학교나 과학고는 의대와 약대 진학을 막기 위해 장학금 환수 등 제재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에 진학한 후 의대에 가면 별도 제재가 없는 실정이다.
지난해 과학고나 영재학교 출신이면서 과학기술원에서 중도 이탈(자퇴·미복학)해 의약학 계열에 진학한 학생은 32명으로 이탈자 중 42%로 드러났다.
2023년 34%, 2022년 45%, 2021년 62%의 중도이탈자가 각각 의약학 계열에 입학하는 등 4년간 143명이 과학기술원을 우회해 의대에 간 것으로 파악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022년부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지난해부터 조사를 시작해 실제 진학생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KAIST는 의대 진학을 위한 중도이탈 비율이 4년 평균 54%였다. 이들 중 83명은 1학년도 마치기 전에 학교를 그만뒀으며, 첫 학기를 다니지 않고 휴학하고 자퇴한 학생도 6명이었다.
한 의원은 "한 유튜브에서는 KAIST에 3일 다니고 의대를 갔다고 자랑스럽게 무용담처럼 이야기하기도 했다"며 "국가 예산으로 지원받아 공부한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들이 편법으로 의대를 간다면 이것은 막아야 하고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