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수, 유년의 봄날이 흑백 필름으로 돌아

2025-02-19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수 무렵

- 김경실​

여린 살 차가와 선뜻 다가서지

못해 동구 밖 서 있었습니다.​

몇날 며칠 헤살대던 바람

지나는 마을마다 무작정 풋정

풀어놓고 입춘 지나 저끝

마라도로부터 북상해 갔습니다.​

버들강아지 산수유 제가끔 제

몫으로 이 나라 산야에서

야무지게 봄물 오를쯤​

이젠 옛이야기로 남은 허기진

유년의 봄날이 흑백 필름

거꾸로 돌아

모두 한꺼번에 살아옵니다.

우수 무렵

위는 김경실 시인의 시 <우수 무렵>입니다. 시인은 우수가 되니 “얼여린 살 차가와 선뜻 다가서지

못해 동구 밖 서 있었습니다.​”라고 노래합니다. 오늘은 24절기 둘째인 우수(雨水)입니다. 우수는 말 그대로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뜻인데 이때가 되면 추운 북쪽지방의 대동강물도 풀린다고 했지요. 아직 추위가 남아있지만, 저 멀리 산모퉁이에는 마파람(남풍:南風)이 향긋한 봄내음을 안고 달려오고 있을 겁니다.

예부터 우수 때 나누는 인사에 "꽃샘잎샘에 집안이 두루 안녕하십니까?"라는 말이 있으며 "꽃샘잎샘 추위에 반늙은이(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도 있지요. 이 꽃샘추위를 한자말로는 꽃 피는 것을 샘하여 아양을 떤다는 뜻을 담은 말로 ‘화투연(花妬姸)’이라고도 합니다. 봄꽃이 피어나기 전 마지막 겨울 추위가 선뜻 물러나지 않겠다는 듯 앙탈을 부려보기도 하지만 김경실 시인은 “옛이야기로 남은 허기진 유년의 봄날이 흑백 필름 거꾸로 돌아 모두 한꺼번에 살아옵니다.”라고 읊조립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