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 선호 시기와 헌법정신
40·50제외 전 연령대 2028년 응답 높아
2026년 6월 지방선거 선택도 41%달해
새 헌법 시대정신 ‘공정·정의’ 26% 1위
20대 ‘과학기술과 미래대비’ 우선 순위
전문가 “미래 이끌 세대 불안감 담겨”
개헌 국민투표 시기로 국민 절반 가까이는 ‘2028년 국회의원 총선거’를 선호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헌법에 담아야 하는 시대정신으로는 ‘공정과 정의’를 지목한 여론이 높았다.

세계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로 선호하는 시기를 묻는 질문에 ‘2028년 4월 총선’을 답한 비율이 46%로 집계됐다.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선택한 응답자는 41%를 기록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당시 개헌을 공약으로 내걸고 “이르면 2026년 지방선거, 늦으면 2028년 총선에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하자”고 밝힌 뒤로 개헌은 뜨거운 감자였다. 21대 대선이 진행된 지난 6월3일 방송 3사(KBS·MBC·SBS)가 공개한 출구조사를 보면 개헌 국민투표 시기로는 ‘2026년 지방선거’를 선택한 응답자가 36.7%, 2028년 총선은 24.8%, 2028년 총선 이후는 10.8%를 기록했다. ‘모르겠다’와 ‘개헌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각각 20.4%, 7.3%였다.
이번 조사를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2028년 4월 총선 때 개헌 찬반 투표를 진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18∼29세(20대)의 49%, 30대의 49%, 40대의 38%, 50대의 42%, 60대의 51%, 70세 이상의 48%가 2028년 4월 총선과 함께 개헌 투표를 진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20대의 39%, 30대의 38%, 40대의 52%, 50대의 49%, 60대의 33%, 70세 이상의 36%가 2026년 6월 지방선거 때 개헌 투표를 병행하는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성향별 차이도 드러났다. 자신의 정치 성향을 ‘보수’라고 밝힌 이들 중 절반(51%)은 2028년 4월 총선이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 시기로 적합하다고 응답했다. 보수 성향의 응답자 중 개헌 투표 시기를 2026년 6월 지방선거로 꼽은 이들은 37%였다. 반면 자신의 성향을 ‘진보’라고 밝힌 응답자들 사이에선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보 성향의 응답자 중 47%가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45%는 2028년 4월 총선을 개헌 시기로 꼽았다.
◆20대 “헌법에 ‘미래대비’ 담아야”
헌법에 담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를 묻는 질문에는 ‘공정과 정의’라는 답변이 26%로 1위를 차지했다. 4명 중 1명에 달하는 비율이다. 과학기술과 미래대비(19%), 자유와 인권(19%), 평등과 복지(18%)도 두자릿수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8%), 다양성과 포용(5%)은 한자릿수였다. 잘 모르겠다거나 응답을 거절한 비율은 3%, 기타를 답한 응답자는 1%였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미만 젊은층의 선택이 두드러졌다. 20대의 경우, ‘과학기술과 미래대비’를 헌법에 담아야 하는 시대정신으로 꼽은 비율이 31%였다. 이어 자유와 인권(23%), 공정과 정의(16%), 평등과 복지(15%) 등이었다. 통상 젊은 세대가 공정성 문제에 예민하다고 보지만, 과학기술과 미래대비를 선택한 비율이 공정과 정의의 두 배에 가까운 셈이다. 30대 이상에서 ‘공정과 정의’가 1위고, ‘과학기술과 미래대비’는 20% 이하인 것과 대비된다.

젊은 세대의 미래에 대한 불안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은 “20∼30년 후 이 나라를 이끌어갈 세대의 불만이 녹아 있는 결과”라며 “그동안 우리나라의 정치·경제적 제도가 미래세대를 염두에 두거나 배려하지 못했음을 드러낸다”고 분석했다.
성별을 구분해서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공정과 정의(28%, 25%)를 가장 우선시했다. 다만 남성은 과학기술과 미래대비(22%), 자유와 인권(18%), 평등과 복지(15%) 순으로 뒤이은 반면, 여성은 평등과 복지(21%), 자유와 인권(19%), 과학기술과 미래대비(16%) 순이었다.
응답자의 정치 성향별로도 순위가 달라졌다. 본인의 정치 성향이 진보라고 답한 응답자 사이에서는 공정과 정의 25%, 평등과 복지 23%, 과학기술과 미래대비 18%, 자유와 인권 13%를 기록했다. 반면 보수층은 자유와 인권 30%, 공정과 정의 27%, 과학기술과 미래대비 18%, 평등과 복지 13%로 집계됐다. 중도층은 공정과 정의 31%, 과학기술과 미래대비 21%, 평등과 복지 16%, 자유와 인권 15%였다.
이번 조사는 9월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무선 전화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9.9%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