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년 월드컵 공동 개최국인 모로코가 유기견을 대량 포획 및 살처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유럽과 국제 동물보호단체 10곳은 최근 국제축구연맹(FIFA)에 공개서한을 보내 모로코 당국의 유기견 처리 방식에 항의했다고 미국스포츠전문 매체 디애슬레틱이 20일 보도했다.
이들 단체는 서한에서 “모로코가 2030년 월드컵을 앞두고 거리 정화를 명분으로 유기견 포획 및 살처분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는 2019년 제정된 모로코 동물보호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모로코는 광견병 풍토병 국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10여 년간 감염견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관리에 힘써왔다. 2019년부터는 유기견을 포획해 중성화, 백신 접종 후 방사하는 ‘포획-중성화-백신접종-방사(TNVR)’ 방식 정책을 도입했다. 그러나 동물보호단체들은 정부가 이 같은 법적 절차를 따르지 않고 유기견을 살처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단체들은 서한에서 “현재 진행 중인 살처분과 앞으로의 계획은 모로코 국가 법률을 위반할 뿐만 아니라, 월드컵 유치 당시 내세웠던 TNVR 정책에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는 명분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모로코 대사관 측은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모로코는 공중보건과 동물복지를 최우선으로 하며, 인도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유기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동물보호단체들은 FIFA가 모로코 정부에 책임을 묻고 법령에 따른 유기견 관리가 이뤄지도록 감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단체들은 “월드컵까지 5년 시간이 남아 있는 만큼 모로코가 인도적인 개체 수 관리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며 “FIFA는 살처분 금지를 엄격히 요구하고, 현행 법령에 따라 유기견 개체 수가 관리되도록 당국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FIFA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기견 살처분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살처분으로 개체 수가 일시적으로 줄더라도 오히려 광견병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2030년 월드컵은 모로코와 스페인, 포르투갈이 공동 개최하며, 대회 100주년을 기념해 우루과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서도 각각 1경기씩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