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정상 20일까지 경선 마쳐야
양당 모두 ‘일정상 불가능’ 판단
첫 자체 경선… 공정성 논란 일 듯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이 확정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에 경선 관리를 위탁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6일 확인됐다. 관련 제도 신설 이래 양당이 선관위에 경선 관리를 위탁하지 않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선까지 최대 58일밖에 남지 않아 경선 또한 속도감 있게 진행될 수밖에 없는데, 각 당이 경선을 자체적으로 실시하면서 ‘공정성 논란’ 에 휩싸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선관위에 따르면 21대 대선 후보자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관리를 선관위에 위탁하려는 정당은 7일까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신청서에는 △경선기간과 경선일 △투표방법 △당헌·당규상의 경선관련 규정 등을 적시해야 하고, 경선은 오는 20일까지 마쳐야 한다.
선관위 관계자는 “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아직까지 21대 대선의 경선관리를 신청하지 않았다”며 “2005년 경선 사무 위탁관리 관련법 신설 이래 양당이 경선 관리를 위탁하지 않고 직접 치르는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선관위에 경선 사무를 위탁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번 경선은 모두 온라인으로 투표를 진행하고, 현장 투표가 없다”며 “투표소 설치나 선거인단 확인 등 위탁할 사무가 없다”고 전했다.
국민의힘 역시 경선관리 위탁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 원내 핵심 관계자는 “선관위 규정이 그렇다면 이번에 위탁관리를 맡기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각 당은 “선관위 지원이 필요 없다”는 입장이지만, 일정상 위탁이 불가능하다는 계산도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7일까지’ 경선일정을 확정해 신청서를 작성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재명 대표의 대선 출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 대표가 대표직을 사임한 후 경선 준비에 돌입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20일까지’ 경선을 마무리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대선 경선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만 10명 안팎인 상황에서 본경선 이전에 1·2차 경선을 치를 가능성이 커서다.
이번 조기대선에서 양당이 처음으로 선관위 지원 없는 대선 경선을 치르면서 공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대통령 궐위선거가 실시된 19대 대선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 바 있다. 당시 선관위는 본선거 준비가 촉박하다며 정당의 경선관리 위탁을 받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선을 준비하던 정당들이 난색을 표하면서 경선 과정 중 일부는 위탁을 할 수 있었지만, 민주당이 경선 투표지 보관을 자체적으로 하면서 결과가 유출됐다는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
조희연·이지안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