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 나흘째인 10일 공조수사본부(공조본)는 체포영장 집행을 위한 관저 진입 시나리오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에 집중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윤 대통령 체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통령경호처 경호관 체포 등 돌발 상황에 대한 법리 검토를 이어가고 있다. 경찰은 차벽·스크럼·철조망 등으로 진지가 구축된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뚫고 들어가기 위한 ‘대통령 체포 작전’을 구체화하고 있다.
경찰이 세우는 관저 진입 계획의 핵심은 물량 공세다. 경호처가 대통령 관저 건물 진입로에 미니버스를 겹겹이 주차하는 방식으로 차벽을 설치하고, 경호관·직원 200여명이 스크럼을 짜며 저항하고 있는 만큼 ‘힘에 의한 돌파’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공수처는 경찰의 관저 돌파 계획이 완성 되는 대로 최종 논의를 거쳐 체포영장 집행 시점을 결정할 예정이다.
수도권 광역수사단 지휘부 소집
체포영장 집행을 주도하게 될 경찰은 이날 서울·경기남부·경기북부·인천 등 수도권 4개 경찰청 소속 광역수사단 지휘부를 총소집했다. 소집 대상엔 형사기동대장·마약범죄수사대장 등 현장 체포 경험이 간부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날 회의에서 대통령 관저 내의 차벽과 스크럼을 뚫고 진입할 구체적 방법과 필요 장비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 9일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경찰특공대와 장갑차, 헬기 동원은 전혀 검토된 바 없다”고 밝혔다. 오동운 공수처장이 지난 7일 “2차 영장 집행이 마지막이라는 비상한 각오로 준비하겠다”고 강조했음에도 경찰이 특공대나 헬기 동원 등을 염두에 두지 않는 건 준비된 인력만으로도 충분히 경호처를 제압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 이날 소집된 4개 경찰청 산하의 광수단 인력은 형사기동대(510명)와 마약범죄수사대(150명) 등 1000여 명에 달한다.
경찰과 공수처는 체포영장 진입 현장에 과하다 싶을 정도의 압도적 인력을 투입하는 것이 오히려 물리적 충돌을 낮추는 방법이라는 데 뜻을 모았다. 지난 3일 체포영장 집행 당시엔 공수처 소속 검사·수사관과 경찰 등 150여명이 투입됐는데, 이를 막아선 경호처 스크럼 인력은 이보다 많은 200명 규모였다. 결과적으로 체포영장 집행 인력들은 대통령경호처와 수도방위사령부 55경비단 등에 포위되며 진퇴양난에 처했다.
특히 2차 체포영장 집행에 투입될 광수단 소속 형사들은 경찰 내에서도 체포 임무와 신병 추적·확보 업무의 베테랑으로 손꼽힌다. 이들의 평소 업무 대부분이 무기를 동원해 저항하는 마약·조직폭력 범죄자 등을 체포하는 임무이기 때문이다. 경찰은 관저 주변의 집회·시위 규모가 커지는 상황을 고려해 1차 체포영장 집행 때 질서유지를 위해 투입한 2700명 규모의 기동대 인원도 보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경호처장 긴급체포하나
이날 박종준 경호처장이 경찰 국가수사본부에 출석하며 경호처의 지휘부 공백이 생긴 점 역시 체포영장 집행을 수월하게 만드는 변수가 될 수 있다. 경찰이 이날 조사 직후 곧장 박 처장을 긴급체포할 경우 상관의 지시로 어쩔 수 없이 체포영장 저지 대열에 합류한 경호처 소속 경호관·직원들의 심리적 동요가 한층 거세질 수 있어서다.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인 윤갑근 변호사는 이날 “경호처장이 (경찰 조사로) 경호구역 밖에 있으므로 복귀 시까지 규정에 따라 경호차장이 직무를 대행하게 된다”고 말했다.
윤 변호사는 이날 공수처와 경찰의 체포영장 집행 계획 대해선 “국가권력을 배제하거나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병력과 무력을 동원하는 명백한 내란행위”라고 반발했다. 이어 “영장 집행이라는 이름으로 가장한 대규모의 무력을 사용해 현직 대통령에 대한 불법체포를 통해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려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