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적 약가 산정이 신약개발 동력…제네릭 가치도 존중해야"

2025-10-12

“정부의 합리적인 약가 정책은 제약·바이오 업계에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입니다. 일방적으로 약값을 올려달라는 게 아닙니다. 불확실성을 씻어내고 예측 가능한 수준에서 약가를 책정하자는 것이죠. 합리적 약가 설정은 신약 개발의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12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제네릭(복제약)을 중심으로 약가를 인하하려는 정책은 많은데 격려하는 정책은 적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 체계를 위한 첫 단추로 건보 재정 안정화를 꼽으면서 약가 산정 체계를 개선해 주기적으로 약가를 인하하는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제약 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업계는 정부가 단순히 제네릭이라는 이유로 약가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조정하게 되면 제약·바이오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동력을 심각하게 갉아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약가 인하에 반대하는 입장이 강하다.

노 회장은 “제네릭이 신약에 비해 가치가 없다고 보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라며 “신약 개발 제약사들의 밑거름이라는 점을 인정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제약·바이오 산업 구조가 제네릭으로 자본을 쌓고 개량 신약으로 기술을 축적해 본격적인 신약 개발로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해 “적절한 가치의 존중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필수의약품·퇴장방지의약품·원료의약품 등 국민 건강과 보건의료 체계 유지에 필요한 의약품 상당수가 제네릭이다. 해외에서는 이 같은 의약품을 일정 비율 이상 생산하는 기업에 혜택을 주는 사례가 많은 반면 국내에서는 원가 보상조차 어려운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노 회장은 “제네릭이라는 이유로 의약품의 가치를 평가절하하면 안 된다”며 “약가 산정을 비롯한 모든 정책이 연구개발(R&D)을 열심히 하는 업체를 격려하는 쪽으로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최근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의 가장 큰 리스크인 미국의 의약품 고관세와 관련해 국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불확실성이 극대화되고 있는 만큼 정부도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게 노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이나 바이오시밀러 생산 업체를 제외하면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국내 제약사들이 해외 진출을 위해 노력하는 시점에서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의 변수를 민감하게 주시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글로벌 빅파마를 향해 관세를 통한 가격 인하 압박을 계속하면 빅파마들이 이 부담을 미국 외 다른 국가로 떠넘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에 영향을 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 회장이 특히 강조한 부분은 원료의약품 공급의 안정화다. 각국이 불확실성 제거 차원에서 공급망을 강화하게 되면 원료의약품을 생산하는 곳이 없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과거 ‘요소수 대란’ 사태 같은 일이 벌어지게 된다면 상황이 심각해진다”고 우려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