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정보 특화 인공지능 'Geo-AI'가 공공 플랫폼에 처음 실탑재된다. 말로 조건을 입력하면 지도 위에 부동산 정보가 시각화되고, 교통·시설·시간 정보를 AI가 종합 추론해 응답하는 구조다. 기존 챗봇형 AI가 다루지 못하는 공간지식 추론 기술이 실제 서비스화 단계에 진입했다.
3일 국토교통부와 국가공간정보센터에 따르면 Geo-AI 핵심 기능 중 자연어 기반 검색과 2D 지도 시각화 기능을 연내 브이월드(V-World)에 탑재한다.
브이월드는 국토부가 운영하는 공공 공간정보 통합 플랫폼이다. 전국의 지형, 건물, 교통, 환경, 토지이용 정보 등 다양한 공간데이터를 통합 제공하며 정부·지자체·민간이 활용하는 공간정보 허브 역할을 한다.
Geo-AI는 단순 문답형 챗봇과 달리 △지도·건물·도로 등 공간정보 △과거·현재·미래 시점 데이터 △공공데이터(도시계획, 교통, CCTV, 기후 등)를 통합 분석해 질의에 응답한다. 핵심은 공간 위치 간 거리·방향·연결 관계를 이해하는 공간 지식추론 엔진이다. 국토부는 이 추론 엔진을 내부적으로 거대언어모델(LLM)과 분리해 설계했으며, 자연어 처리는 상용 인공지능(AI) 일부를 접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구현 중이다.
국가공간정보센터 관계자는 “자연어 기반 조건 질의에 맞춰 지도 위에 정보를 시각화하고, 실시간 교통 등 공간 맥락을 반영해 응답하는 기능을 브이월드에 실제로 연계할 계획”이라며 “3차원 시각화 기능은 GPU 등 인프라 제약으로 당장은 적용이 어렵지만 기본 응답 구조는 작동 가능한 상태”라고 밝혔다.
Geo-AI 기술은 2022년부터 국토부 주도로 개발되고 있으며 서울대·연세대·군산대 등 4개 대학과 3개 민간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사업 예산은 총 108억 원. 현재까지 중간 기술로 자연어 검색과 지도 시각화 기능이 구현됐으며 실제 테스트베드 적용도 진행 중이다.
현재 AI 부동산 중개 플랫폼 '부톡(BuTalk)'이 테스트베드 기업으로 참여해 실증 중이며 사용자 조건 기반 매물 추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Geo-AI는 향후 자율주행,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등 분야로 확장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2027년까지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술 고도화, SaaS형 소프트웨어 전환을 추진하며 민간 기업에 API 형태로 기술을 개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간정보 기반 AI 기술은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공공 데이터를 읽고 해석하는 인공지능의 새로운 영역”이라며 “지도 위에 작동하는 AI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구현되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