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탄핵 유탄···印尼, 데이터센터 사업 백지화

2025-02-17

12.3 계엄과 이어진 대통령 탄핵 사태 불똥이 정부가 추진하던 인도네시아 정부 통합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으로 옮겨 붙었다.

우리 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을 제공하고 디지털정부를 수출한다는 복안이었지만, 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등을 이유로 협력 중단과 사업 취소를 결정했다.

국제 사회에서 신뢰도 하락이 우리 경제에 실제로 영향을 미친 결과다. 다른 개발 도상국에서 추진할 EDCF 사업 참여와 디지털정부 수출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17일 정부와 데이터센터 업계 등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통합데이터센터 구축 사업 차관을 받지 않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접수했다.

우리 정부는 차관 계약 연장안을 제시했으나, 인도네시아 정부 측은 이를 거절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에 인도네시아 정부가 기재부에 정부 통합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문서를 전달했다”면서 “한국수출입은행도 관련 내용을 접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우리 정부는 인도네시아 통신디지털부가 지난 2023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1억8000만달러(약 2600억원)를 투자해 설립하는 정부 통합데이터센터 사업에 EDCF 차관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EDCF는 공적개발원조(ODA) 중에서도 무상원조가 아닌 대표적 유상원조 방식이다. EDCF 차관을 운용하는 기재부와 위탁관리기관인 수출입은행이 사업에 관여해왔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메우티아 하피드 인도네시아 통신디지털부 장관은 최근 열린 의회 청문회에서 사업 취소 결정 이유로 “지난 2년 동안 사업에 진전이 없었다”면서 “최근에 한국의 정치적 혼란도 프로젝트 추진(취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번 사안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이 사업 컨설턴트 선정 단계부터 후순위 입찰 기업이 선순위 입찰 기업(국내 기업) 등과 관련해서 수출입은행에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면서 “이 여파 등으로 사업이 지지부진했했는데 계엄에 따른 국내 혼란이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사업이 발주 전에 좌초된 만큼 시공·시행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 또한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인도네시아 정부통합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 우리나라 하드웨어(HW)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솔루션 업계가 레퍼런스를 확보할 좋은 기회로 여겨졌다. 데이터센터 설립 전후로 긴밀한 협력이 필수인 데다, 이후 다른 동남아 국가에도 수출 기회가 생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사업 무산으로 HW·소프트웨어 기술과 디지털정부 모델 동시 수출, 아세안 국가에서 주도권을 쥐려던 정부 계획에 차질이 우려된다.

데이터센터 업계 관계자는 “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의 중점 협력국이고, 업계는 EDCF 차관을 통해 현지에 진출할 좋은 기회를 맞았었다”면서 “결과가 아쉽지만, 성과가 이어지도록 정부가 계속해서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사업이 취소된 것은 맞고, 이는 현지 사정에 따른 것으로 안다”면서 “이번 일로 인해서 디지털정부 수출에 제약을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