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표준기반 데이터센터 전자파 측정·평가 활성화로 주민 우려 해소 해야”

2025-09-07

인공지능(AI) 시대 필수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건립이 지역주민 반대로 난항을 겪는 가운데 국내에서 전자파 노출량의 측정·평가 표준화 작업이 본격화됐다. 제정된 민간 표준 등을 적극 활용해 전자파 인체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안준오 미래전파공학연구소장은 한국전자파학회 전자장과생체관계연구회가 주관한 '제29회 전자기장의 생체영향에 관한 워크숍'에서 데이터센터 전자파 노출량의 측정 및 평가방법을 제시했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이 제안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으로 제정된 해당 측정 절차는 데이터센터 내·외부와 인입 전력선 구간을 모두 포함한다.

내부는 전기실, 서버실, 사무공간 등 근무자 상주구역을 중심으로 극저주파(ELF)와 고주파(RF) 대역을 나눠 측정한다. 최대 노출 지점을 찾은 후 세부측정을 통해 전자파 강도를 산출한다.

외부는 데이터센터 건물 경계를 따라 최소 10개 지점을 동일 간격으로 배치해 측정한다. 지중선 등 인입 전력선 구간 역시 주민 접근이 가능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다. 어린이집, 초등학교 등 취약구역은 별도 세부기준을 적용한다.

측정값은 일반인과 직업인의 인체보호기준과 비교해 노출강도를 평가한다. ELF와 RF 대역별로 각각 평균값을 산출한 뒤 총 노출지수를 산출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전자파가 실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부 기관과 전문가들이 표준화된 측정 절차 마련에 나선 것은 과도한 전자파 괴담으로 데이터센터 투자가 위축되는 사례가 늘고 있어서다. AI 고도화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지역주민 반발로 허가가 지연되거나 착공이 보류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전자파 측정과 관련된 표준이 개발되면서 전자파 분쟁 지역 등에서 주민을 설득하고 합의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형도 전자장과생체관계연구회 위원장은 “표준화된 측정 절차를 통해 주민·사업자·지자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민원 현장에서의 이해소통을 위한 신뢰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TA 데이터센터 측정기준의 지속적인 보완·발전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기희 국립전파연구원 전자파안전협력팀장은 “ELF와 RF의 특성이 달라 단순 합산 방식으로 노출지수 산식을 정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추가 검토를 통해 국가표준과 정합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의 경우 국제비이온화방호선위원회(ICNIRP) 기준보다 엄격한 수치를 적용하고 있다. 지난해 이뤄진 데이터센터 측정 평가에서 ELF 노출량은 최대 14mG(밀리가우스)로 정부 인체보호기준인 883mG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연구회는 5일 이날 워크숍에서 정부·학계·전문기관·시민단체가 모두 참여한 전자파 인체보호 관련 토론회도 열었다. 적극적 소통과 의견수렴을 통해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 마련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