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매수세가 우르르 몰렸다 빠지기를 반복하는 ‘양떼 효과’ 영향으로 분석된다.
14일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341건으로 집계됐다(13일 기준). 2020년 7월(1만1155건) 이후 59개월 만에 최대치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구로구를 제외한 24개 구에서 전월 대비 거래량이 늘었다. 보름가량 남은 실거래 신고 기한을 고려하면 6월 전체 거래량은 1만2000건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한강벨트에 특히 수요가 몰렸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동구가 866건으로 가장 많았다. 성동구(712건)와 영등포구(647건)도 거래량이 급증했다. 토허제 4구(강남·서초·송파·용산구)를 제외한 6개 한강벨트 지역이 6월 전체 거래량의 35%를 차지했다.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비정상적인 급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올 1월까지 3000건대를 유지하던 거래량은 2월 6635건, 3월 1만327건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4월엔 5479건으로 반 토막이 났다. 하향 안정세였던 시장을 요동치게 한 것은 기준금리 인하 영향도 있지만, 무엇보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재지정 여파가 컸다.
이후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전 ‘막차’ 수요와 토허제 풍선 효과가 나타나며 5월(8139건)과 6월(1만341건) 거래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기습적인 6·27 대출 규제가 나오며 7월 거래량은 14일 기준 605건으로 급락했다. 신고 기한이 45일가량 남았지만 최근 서울 전역의 거래 절벽 현상을 고려할 때 7월 거래량은 4000건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서울 아파트 거래 급등락의 1차 원인은 대출 규제를 포함한 정책과 금리다. 주택 수요가 아파트로만 몰리는 현상도 한 요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3일 기준으로 올해 서울에서 매매된 주택(6만3730건) 중 70.6%가 아파트였다. 2006년 조사 이후 역대 최대치다.
소셜미디어(SNS)와 유튜브, 부동산·맘 카페 같은 커뮤니티에서 나도는 불명확한 정보가 군중 심리를 자극하며 양떼 효과를 일으킨다는 지적도 많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실시간 SNS를 통해 비슷한 정보를 접하면서 소비자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떼 짓기’가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부동산 커뮤니티 등에선 ‘정부가 곧 종부세와 양도세를 올린다’ ‘서울 전역이 규제 지역으로 묶인다’ 등 미확인 정보가 유통되고 있다. 지난 5~6월엔 이른바 ‘받글(받은 글)’ 등의 형식으로 신고가 아파트 정보가 실시간 공유됐다. 이 중엔 사실과 다른 내용이 상당수 포함됐다. 지난 대선 전후론 ‘민주당이 집권하며 집값이 오른다’는 막연한 주장이 SNS와 유튜브를 통해 나돌았다. ‘폭락’ 아니면 ‘폭등’을 주장하는 일부 부동산 유튜브의 영향력도 커졌다.
이런 현상은 ‘나만 기회를 놓치는 것 아닐까’ 하는 포모(FOMO) 증후군, ‘나만 비싸게 사는 것 아닌가’ 하는 풉(FOOP) 증후군을 자극하며 시장 불안을 초래하고 수요자의 비이성적 선택을 유도한다. 박원갑 위원은 “섣불리 무리 짓기에 동참하면 이득은커녕 광풍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며 “정부 역시 시장을 눌러 집값을 잡는다는 개념보다는 변동성을 완화하는 역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