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대차 레벨4 수소트럭, 기대 크다

2025-10-26

현대차가 내년말 양산을 목표로 자율주행 4단계(레벨4) 수소트럭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고 한다. 가뜩이나 미국 수출 절벽 앞에 선 절박한 상황인데도 미래를 위한 준비를 다그치고 있다니 다행스럽고, 반가운 일이다.

미국 시장에서 유럽·일본 차에 비해 불해진 지형, 아직도 불투명한 정부 협상을 한탄만 하고 있을 겨를이 없다. 오히려 미래 청정에너지와 물류분야 모빌리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다음단계 도전을 벌인다니 걱정보다는 기대가 커진다.

사실, 수소에너지는 국가간 넷제로 도달 경쟁에 있어서 중요한 지렛대다. 이미 우리는 민관 합동으로 두번의 정부를 거치며 차근차근 발전시켜 왔다. 지금 수소연료전지에 집중되고, 승용차에 편중된 기술을 '그린수소' 등 다른 원료분야까지 확대하고, 선박 등 타 운송수단까지 확대하는 과제가 남았다.

레벨4 자율주행 기술도 이전 3단계(레벨3: 운전자 개입을 통한 반자율주행)와는 차원이 다른 경지다.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이 특정 구간이나 주행 조건에서 완벽하게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수준을 구현한 것이다. 자율주행 트럭은 운전자의 장시간 노동을 사라지게 할 뿐 아니라, 사고유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당연히 차량 물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고, 화석연료 엔진 교체라는 거대한 과제 앞에 놓인 미국이 최대 시장이다. 당장 눈 앞에 관세부과로 인한 수출 감소 등이 우려된다손 치더라도 앞으로 상용 생산만 빠르게 이뤄진다면 가늠할 수 없는 거대시장이 열릴 수 있다.

이러한 때 필요한 정부 연구개발(R&D) 역할이 있다. 수소연료전지 상용차 양산은 현대차가 잘하고 있으니 차치하더라도 정부가 R&D를 통해 수소 엔진, 나아가 선박 등 다른 모빌리티분야 수소 엔진 적용기술 등을 완성시켜 나가는 것이다.

이렇게 기업과 정부가 손발을 맞춰 나간다면 앞으로 자율주행 수소 선박, 자율주행 수소 로봇 등 수소기반의 모빌리티 에너지 체제를 한발 앞서 확보할 수 있다.

이번 현대차의 레벨4 수소트럭 상용화 도전이 우리나라는 물론 글로벌 모빌리티 전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기업의 새로운 도전이 성공하고, 정부의 더나은 R&D 지원과 기술 확보로 나아간다면 한국이 미래 모빌리티시장의 주역이 될 수 있다.

미미했던 출발이 도착지에 닿았을 땐 상상할 수도 없이 거대해질 수 있는 일이다.

이진호 기자 jholee@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