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민 의원, 13일 국회 과방위 국감서 "AI 요약, 창작자 수익 잠식·저작권 논란 초래" 지적
김광현 부문장 "'AI 하이라이트' 등 트래픽 감소 최소화 방안 논의 중" 해명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플랫폼 부문장(부사장)은 13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AI 요약 서비스가 노출될 때) 창작자에게 유입되는 트래픽이 현실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보완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국감에서 질의에 나선 국회 과방위 소속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은 "AI 요약이 무단 도용·수익 잠식 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미국에선 AI 요약이 뜨면 사용자가 요약만 보고 끝내 트래픽이 급감했다는 보고가 있다. 국내에서도 학습 데이터 저작권 문제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요약 기능까지 도입돼 언론사·창작자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광현 부문장은 "AI 브리핑이나 AI 오버뷰가 노출되면 창작자 측 트래픽이 줄 수밖에 없고 현실적으로 그렇게 나타나고 있다"며 "이 같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AI 하이라이트' 프로젝트 등 보완 기능을 논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사용자와 창작자 모두의 효익을 높이는 방향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구성과 신뢰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이해민 의원은 "의원실 확인 결과 AI 브리핑에서 많이 인용되는 출처가 블로그·카페, 공공기관 사전, 언론사, 쇼핑 순으로 나타났다. 환각·편향 우려 속에서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또 네이버가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트래픽을 충분히 보내지 않으면서 자사 콘텐츠 보호에는 엄격하다는 지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언론사·창작자 권리 보호와 공정한 수익 배분을 위한 AI 상생 가이드라인과 정산 기준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며 "사용자 최우선 원칙 아래, 특정 기업만 이익을 얻는 구조가 돼서는 안 된다"고 구조 개선을 촉구했다.
이에 김 부문장은 "사용자가 많이 찾는 주제를 중심으로 출처 구성이 이뤄진다"면서도 "신뢰도 제고를 위한 개선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