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급 AI' GPT-5 출시… "SW 만들어 쓰는 시대 왔다"

2025-08-07

오픈AI가 ‘박사급 인공지능(AI)’ GPT-5를 내놓았다. GPT-4 출시 후 2년 5개월 만의 주력 모델 업데이트다. 오픈AI는 GPT-5로 모두가 원하는 앱을 손쉽게 만들어낼 수 있는 ‘개인화 앱’ 시대를 열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성능평가 ‘점수 경쟁’ 대신 사용 사례(use case)를 선도하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7일(현지 시간) 오픈AI는 GPT-5를 글로벌 챗GPT 사용자를 대상으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GPT-5는 깊이·정확성·속도·비용 등 모든 면에서 오픈AI 현 주력 모델인 GPT-4o를 능가한다. 일종의 ‘하이브리드 모델’로 사용자 요구에 최적화한 모델을 자동 선택해 최선의 결과를 내놓는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GPT-5를 사용해본 후 GPT-4로 돌아가기 힘들었다”며 “GPT-3가 고등학생, GPT-4가 대학생과 대화하는 느낌이었다면 GPT-5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든 박사 학위 수준의 전문가와 대화하는 느낌을 준다”고 강조했다.

GPT-5는 AI에 지시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바이브 코딩’ 능력을 대폭 강화했다. 구체적인 요구 사항에 맞춰 몇 분 만에 고품질 앱을 만들어낸다. 이날 오픈AI는 “영어 화자에게 프랑스어를 가르칠 앱을 만들어달라”는 요구에 단어 퀴즈와 간단한 단어 게임, 정·오답에 따른 점수와 기록된 정답률에 기반한 오늘의 목표, 그간 완벽히 암기한 단어 수 등을 포함한 웹페이지가 생성되는 장면을 시연했다.

올트먼은 바이브 코딩 능력 강화에 따라 모든 소프트웨어가 개인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이미 만들어진 앱을 사용하는 대신 각 사용자가 그때그때 필요한 기능을 AI로 만들어 쓸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GPT-5는 순식간에 당신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낼 수 있다”며 “이제 사람은 능력이 아닌 아이디어로만 한계를 맞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픈AI는 GPT-5의 구체적인 성능평가(벤치마크) 지표 대신 뛰어난 사용성을 제공한다는 점에 방점을 뒀다. 뻔한 수치 대결보다 개인화 앱 개발 등 ‘AI 서비스’ 영역에서의 강점으로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의도가 다분하다. 테크계 관계자는 “과거 애플이 구체적인 아이폰 성능 수치 대신 소비자가 어떤 장점을 체감할 수 있는지에 집중했던 마케팅 방식이 떠오른다”며 “AI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서비스 경쟁이 본격 시작되고 있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