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바이낸스의 가상자산 범죄 관련 국내 협조 요청 건수가 작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가상자산 계정이 캄보디아 범죄 조직의 자금 세탁 수단으로 악용되는 등 사건이 잇따르자 수사기관과 거래소 간의 공조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바이낸스는 24일 서울 서대문구 피알브릿지 라운지에서 '제2회 블록체인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가상자산 범죄 트렌드와 국제 공조 경험 등을 공유했다. 바이낸스는 전직 경찰과 민간 섹터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조사팀을 통해 가상자산 관련 범죄 수사에 협력하고 있다.
김민재 바이낸스 아태지역 조사전문관은 "국내 수사기관의 협조 요청은 작년 1020건에서 올해 상반기만 740건으로 크게 늘었다"며 일본과 비교해도 3배 많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 한국인 계정을 통한 가상자산 거래가 캄보디아 범죄 조직의 돈세탁 수단으로 악용되면서 경찰이 대대적인 수사에 나선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바이낸스 전문조사팀도 지난 1월 한국인이 동아시아 캄보디아 지역 IP로 접속한 계정 30~40개를 자체 분석한 결과 범죄 관련성을 확인해 경찰에 통보한 바 있다. 김 전문관은 "수사기관과의 협조는 물론 자체 조사를 통해 이상 거래를 수시로 탐지하고 있다"며 "법적 의무가 없더라도 범죄 연루가 확실시되면 임의적으로 동결 및 수사 협조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전문관은 가상자산 범죄 대응은 '속도'가 핵심이라며 이를 위한 수사기관과 거래소 간 공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상자산 거래 기록은 모두 온체인에 기록되기 때문에 불법 거래는 거래소를 통해 빠르게 추적이 가능하다"며 "수사기관의 협조 요청이 들어오면 자금 흐름부터 빠르게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전문관은 "미국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제재 리스트를 매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이상 거래 감지 시 이용자에게 자금 용도와 상대방을 확인하는 등 엄격한 절차를 운영 중”이라고 덧붙였다.

![[법정 선 보이스피싱] ⑤"개별 검거해도 '일망타진' 어려워"...변호사 3人의 현장 분석은](https://img.newspim.com/news/2025/11/24/2511240834164980_w.jpg)




![[단독] "내란 협조 제보하라"…검찰 내부망에 '익명게시판' 띄운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4/5addb00b-8455-4a28-ab78-2279351af7d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