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까지 문과, 서울대 노린다? "이 고교 가라" 최후의 보루

2025-10-05

추천! 더중플-헬로페어런츠(hello! Parents)

추석 연휴가 끝나면 말 그대로 ‘입시철’이 시작됩니다. 11월 중순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치러지고, 12월에는 일부 고교가 원서 접수를 시작하죠. 초등 고학년 아이를 키우는 학부모도 마음이 편치는 않습니다. 돌아서면 아이는 중학생·고등학생이 될 테니까요. 그중에서도 특히 고민이 많은 건 문과 성향 아이를 키우는 양육자입니다. 자율형사립고와 학군지 일반고에서도 학생 70~80%가 이과로 쏠린다고 하거든요. 일자리가 많은 의·약학 계열과 이공계 진학을 선호하기 때문이죠. 최근에는 이과생이 문과를 교차지원 해 합격하는 ‘문과 침공’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흐름 속에 문과형 인재들이 외고·국제고로 모여들고 있습니다. 내신 경쟁은 치열하지만, 문과 맞춤형으로 운영되는 만큼 대입에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이죠. 밀레니얼 양육자를 위한 더중플 시리즈 헬로페어런츠(hello! Parents)가 외고·국제고 입시 전략을 소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10일 서울 광진구 중곡동에 있는 대원외고 강당. 마이크를 잡은 학교 관계자는 자리를 빽빽하게 채운 300명의 학부모에게 이렇게 말했다. “내신 경쟁이 치열하지만, 그만큼 대학 진학에 유리하다”는 뜻이다. 이날 입학설명회는 접수를 시작한 지 1초 만에 마감됐다. 설명회에 참석한 학부모들은 한 마디도 놓치지 않으려는 듯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자기소개서(자소서)와 면접에 대해 안내할 때는 이곳저곳에서 카메라로 촬영하는 소리가 들렸다.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평가를 받으며 폐지 위기까지 내몰렸던 외고·국제고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근 10년 간 입학경쟁률이 이를 잘 보여준다. 2022년 1.06대 1로 바닥을 찍었던 외고·국제고 입학경쟁률은 2023년부터 3년 연속 오름세다. 올해 경쟁률은 1.47대 1로 높아졌다.

외고·국제고에 대한 관심이 커진 건 ‘이과 쏠림’의 영향이다. 이과에 대한 과도한 선호가 역설적으로 문과생을 외고·국제고에 집결시켰다. 영재학교·과학고 뿐만아니라 자율형사립고, 심지어 일반고에서도 학생의 70~80%가 이과를 택하는 분위기다. 문과 과목은 수강 인원이 적어 내신에서 등급을 잘 받기 어렵고, 교육과정도 이과 중심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김치삼 KNS 대표는 “강남은 일반고도 문과가 1~2개 반에 불과하다”며 “문과생들은 외고·국제고로 몰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바뀐 입시 제도가 외고·국제고에 유리하게 작용할 거란 기대도 있다. 고교학점제와 2028 대입 개편으로 수능·내신의 변별력이 떨어졌고,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수시 노하우가 쌓인 특목·자사고가 유리할 수밖에 없다. 정예선 대일외고 입학홍보부장은 “대입은 해마다 달라졌지만, 외고는 꾸준히 성과를 내왔다”며 “입시가 어떻게 바뀌더라도 방법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허유림 고양국제고 입학홍보부장도 “내신이 5등급제로 특목·자사고의 불리함이 줄었다”며 “다양한 탐구 활동을 하는 건 대입에서 장점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원가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감지된다. 최근 외고·국제고에 대한 학부모 문의가 부쩍 증가했다는 것이다. 조문성 청담어학원 대치브랜치 원장은 “최근 초등 고학년을 키우는 학부모 중에 ‘외고에 진학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며 “대입에서 수시 비중이 커지면 특목고가 경쟁력이 있을 거라 기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 원장은 이어 “뼛속까지 문과인데 서울대가 목표라면 외고·국제고가 답”이라고 덧붙였다.

외고·국제고는 총 2단계에 걸쳐 학생을 선발하는데, 1단계는 보통 영어 성적만으로 뽑는다. 그렇다면 수학은 정말 못해도 되는 걸까? 외고·국제고의 차이는 도대체 뭘까? hello! Parents 특별기획 ‘고입 전략 대해부’ 5회에서는 외고·국제고의 차이점과 지원 전략에 대해 낱낱이 분석했다.

☞“찐 문과면 외고·국제고 가라” 서울대 합격 더 유리한 이유 [고입 대해부⑤]

hello! Parents 특별기획 고입 전략 대해부

①전사고? 광사고? 중등땐 늦는다…대학 좌우하는 고교 선택

고교학점제 도입과 2028 대입 개편으로 고교 선택이 더욱 중요해졌다. 혹자는 이제 ‘고입이 곧 대입’이라 말한다. 고입 대해부 1회에서는 영재학교·과학고부터 일반고까지 고교 유형별 특징과 입시 전형을 낱낱이 파헤친다. 아이에게 맞는 고교를 선택할 때 눈여겨봐야 할 세 가지 핵심 키워드가 있다. 그게 뭘까?

②문과? 이과? 잘 모르겠다면…18년차 컨설턴트 단칼 구별법

최영득 대치명인 MI고입컨설팅센터 소장은 “대입과 달리 고입에서는 용의 꼬리보다 ‘뱀의 머리’가 되는 편이 낫다”고 말한다. 남들 좋다는 학교에 합격하는 것보다 가서 잘할 수 있는 학교를 고르는 게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그러려면 아이가 문과형인지 이과형인지, 수시형인지 정시형인지 빨리 파악해야 한다. 아이와 맞는 학교를 어떻게 골라낼까?

③내신 3등급도 서울대 보냈다…‘전국 102곳’ 그 일반고 공통점

전국 고교 2400여 곳 중 약 1700여 곳이 일반고다. 일반고는 특수목적고(특목고)·자율형사립고(자사고)보다 대입 실적은 떨어지지만, 내신 체제 변화로 인해 전략적 선택지로 주목받고 있다. 1등급 받기 더 수월할 거란 계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그런 기대로 일반고에 가면 대입에서 낭패를 볼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일반고에서 성공할 진학 전략을 살펴본다.

④SKY 가려면 과학고? 외고? 대치맘은 ‘전사고’ 보낸다

‘육각형 인재가 몰리는 학교’ hello! Parents가 만난 고입 전문가들은 전국단위자율형사립고(전사고)를 이렇게 표현했다. 외대부고·하나고·상산고 등은 서울대·의대 많이 보내는 학교를 논할 때 빠지지 않는다. 전사고에 가려면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다 잘해야 한다는데, 정말일까? 전사고가 바뀐 입시에서 가장 경쟁력을 갖는 이유는 뭘까?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