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자경(三字經)과 천자문(千字文)으로 시작했다가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신국문(新國文)으로 넘어갔다. 문어체(文語體)로 작성된 이 교재들에는 젊은 시절의 모범적 행실로 알려진 공융(孔融)과 사마광(司馬光) 같은 유학자들의 이야기가 많이 담겨있었다. 거짓말을 하지 못한 조지 워싱턴이나 알프레드 왕의 중국판이라 할 인물들이다. 그래서 언어의 연마는 도덕 교육과 긴밀하게 맺어져 있었다. 나는 그것을 당연한 일로 받아들이고 중국에서나 미국에서나 영국에서나 옳고 그름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같은 것이라고 짐작했다.
이런 식의 공부가 충분치 못하다는 사실이 차츰 분명해졌다. 학교에서는 주 5일 다섯 시간씩 여러 과목을 배웠다. 그를 통해 중국 고전에 나타나지 않는 관념과 사물을 가리키는 영어 단어들을 익히게 되었다. 내게는 근대중국어의 어휘도 필요했고, 그래서 부모님은 나를 오후에 중국인학교에 보내기로 결정했다. 가까운 뉴타운에 있는 사립학교에 타고 다니도록 자전거를 사주신 것이 내 아홉 살 때였다. 영어 학교에서 배우는 단어들과 짝이 맞는 단어들을 그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
하지만 내 중국어 세계는 아주 작은 것이었다. 사립학교의 다른 학생들은 시내에 살았다. 우리 교실은 점포에 딸린 방 한 칸이었다. 선생님은 한 분이었고 수업이 시작할 때 모였다가 끝나면 헤어졌다. 우리 집이 유별난 점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부모님이 이곳에 자리 잡을 마음이 없는 것도 한 이유였고, 또 우리가 시내에 가는 일은 장보기와 영화 보기뿐인데 둘 다 자주 하지 않았다. 부모님의 가까운 친구는 시내 반대쪽 철길 옆의 우 선생 댁뿐이었다. 아버지의 직속 상관 우위텅(吳毓騰) 씨는 교육청 부근의 사택에서 살았다. 부부가 모두 상하이 출신으로 상하이 방언과 표준어를 사용했다. 우 선생 부인이 마작을 대단히 좋아해서 주말마다 짝을 맞추기 위해 부모님을 불렀다.
우 선생 댁 방문은 내게 즐거운 기억이다. 우리가 이포에 갈 때 그 집에 아이가 셋 있었다. 맏인 티셴(迪先)은 나보다 몇 살 위였고, 모형비행기 만드는 재주로 우리 모두의 부러움을 받았다. 둘째 티화(迪華)는 무슨 놀이를 하든 우리 대장이었다. 막내가 여자아이 티허(迪和)였다. 나보다 몇 달 위여서 누나라고 불렀다. 나중에 셋이 더 생겨서 작은 애들이 형, 오빠라고 부르는 것이 기분 좋았다. 외아들인 내게는 그 집 아이들이 형제자매 같았다.
1937년에 우 선생의 누이 우쥔이(吳君亦)가 일본의 침공을 피해 아들 하나와 딸 넷을 데리고 건너왔다. 저우사오하이(周绍海)와 저우룽위(周容與), 새로 생긴 누나 둘이 대도시 상하이에 관해 이야기해 주었다. 묘한 일은 아이들 모두 표준어를 쓸 수 있는데도 우리 사이에는 광둥어를 쓰는 일이 많았고, 상하이에서 새로 온 다섯 명도 따라 하게 되었다. 광둥어는 가게에서 대개 쓰는 말이었다. 관청 외에는 영어를 쓰는 곳이 별로 없었고, 지역의 말레이어 방언이 또 하나 많이 쓰이는 언어였다.
우리는 일요일마다 인력거를 타고 우 선생 댁에 가서 어울려 지냈다. 아이들은 장난감을 만들어 놀았고 각자 학교에서 배운 놀이를 서로 가르쳐주기도 했다. 성냥갑 거미싸움, 제기차기, 연날리기 등. 넓은 정원을 이용하는 놀이도 많이 궁리해 내고 술래잡기를 많이 했다.
일요일의 외출을 통해 알게 된 사실 하나가 있다. 다니는 길에 조그만 다리 하나를 건너고 예쁜 힌두교 사원 하나와 도교 사원으로 쓰이는 석회암 동굴을 지나갔다. 우리가 지나갈 때 어느 쪽 사원에든 사람이 많이 모여 있을 때가 종종 있었다. 거기 참여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일인지 궁금했으나 부모님은 멈추는 일 없이 지나갔다.
우리 도시에 많은 사원이 있고 몇 개 교회와 모스크도 있다는 사실을 그렇게 해서 알게 되었다. 사람들이 그 안에서 기도하는 모습을 볼 때도 있고 향불 연기에 뒤덮여 있는 것을 볼 때도 있었다. 부모님은 모든 종교활동이 미신이고 우리가 알 바 아니라고 잘라 말씀하셨다. 부모님 친구 중에도 사원이나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없고 집에서도 중교와 관계되는 일이 없음을 알게 되었다.
어머니께 설명해달라고 하자 어머니는 조상을 공경하는 마음을 말씀하시고 집안 어른들을 공대하는 이유를 설명하셨다. 우리가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은 가문의 사당과 위패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있기 때문이라고 하셨다. 다른 사람들이 신앙을 드러내 표현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설명이었다. 그러나 이성적으로 명확히 이해되지 않는 모든 것에 대한 회의적 태도가 내 마음에 심어졌다.
이제 돌아보면 우리 가족의 중국인 정체성이 중국 고대사에 깊은 뿌리를 가진 유교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나는 순순히 받아들인 것이다. 가문의 학인(學人 literati) 전통의 핵심이었다. 우리 가문 사람들이 노자와 장자를 숭상하거나 불교 경전을 공부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엘리트 전통은 자제들에게 공자와 그 제자들이 세운 이념에 따라 제국의 충실한 관리가 되게 하는 교육을 권장했다. 자제들은 관리들 및 지역사회 지도자들과 어울리며 자기네 지도와 교육, 그리고 통치를 받을 민중을 자신과 구별했다. 그래서 그들은 민중의 다양한 예식과 신앙 활동을 문화적 특성으로 용납은 하더라도 스스로 의탁할 대상으로 여기지는 않았다. 도움이 필요한 민중에 대한 그들의 책임감은 엄격한 자세로 자기 위치를 지키는 여러 원리에 따르는 것이었다. 나는 자라나면서 우리 식구들과 이포의 다른 중국인들 사이의 거리가 집의 위치 때문만이 아니라 전통적 중국사회의 구조에도 유래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Wang Gungwoo, 〈Home is Not Here〉(2018)에서 김기협 뽑아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