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이번 구제역 발생 14개 곳 중 8곳, 공수의 접종 농장
지자체 기반 공수의 제도, 인력 태부족…대책 급선무
농가도 적극 협조…누락·미흡 등 ‘구멍’ 철저 방지를
구제역이 진정세다. 지난 3월 23일 전남 영암 한우농장(14번째) 이후 추가 발생이 없다. 이제 외양간을 고쳐야 한다. 공수의 제도 개선 역시 검토해봐야 한다.
방역현장에서는 공수의를 흔히 볼 수 있다. 공수의는 50두 이하 소규모 농가에서 구제역백신을 접종한다. 전남, 전북, 경기, 경북, 충남, 강원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100두 이하 소규모 농장으로 공수의 구제역백신 접종 영토를 넓혔다.
물론 이번 구제역 발생에서도 공수의가 구제역백신을 접종한 농장이 많다. 총 14개 발생 농장 중 8개(50두 이하 7개, 50~100두 1개) 농장이 공수의 접종대상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공수의 즉 전문가가 백신을 접종했는데도, 왜 발생”이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기 어렵다. 공수의 실력이 부족했다거나 실수, 미흡했다는 단서도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설령 그런 사례가 있다고 해도 공수의 책임만으로 돌리기에는 현실적인 벽이 높다.
두당 6천원 접종비…부상당하기 일쑤
공수의에게 주어지는 구제역백신 접종비는 두당 6천원이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각각 50%씩 부담한다.
현장 고충을 고려하면 이 두당 6천원이 결코 비싸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
공수의 입장에서는 한 농장에서 많은 소를 접종하면 좋다. 시간도, 비용도 아낄 수 있다. 하지만 50두(또는 100두) 이하 소규모 농장에서만 접종하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여러 마리 소가 전부다.
보정 여건도 좋지 않다.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소를 붙잡다가 부상당하기 일쑤다. 농장주 도움을 기대하기는 무리다.
농장주들이 직접 백신접종을 하겠다며 백신만 받는 경우도 있다. 누락, 미흡 등 백신접종에 빈틈이 생길 수 있다.
800명대 후반 공수의 활동…방역 최전선
‘수의사법’이 공수의 근거법령이다. 대다수는 시·군·구청장이 동물병원을 개설한 수의사 중 공수의를 위촉한다. 다만 지난해 법령 개정 이후 공수의를 위촉하는 시·도지사도 생겨났다.
이렇게 공수의 제도는 지자체를 기반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국에서 활동하는 돼지·닭 수의사보다는 해당 지자체에 있는 소 수의사를 선호한다.
전국에 있는 공수의 수는 800명대 후반이다. 900명이 조금 안된다.
시·군·구당 평균 3~4명이 있는 셈이다. 하지만 축산 상황, 지자체 여건 등에 따라 공수의 수는 하늘과 땅 차이다. 한명도 없는 시·군·구도 있고, 10명 이상 있는 시·군·구도 여럿이다.
공수의는 구제역백신 접종 뿐 아니라 브루셀라·결핵 채혈, 광견병 검사·백신접종, 폐사축 신고에 따른 시료 의뢰 등 여러 미션을 갖고 있다. 드물게는 도축검사관, 시험소 검진사업에 위탁·투입되기도 한다.
한달 고정급여는 (지자체마다 천차만별이지만) 농촌 지역의 경우, 보통 100만원~130만원 가량 된다.
시·군·구 활동수당 천차만별
공수의 메리트는 사실 활동수당에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구’ 소속 공수의는 광견병백신 접종 외에는 별다른 활동수당 창구가 없다. 그래서 수의사들은 도시 공수의에 잘 진출하지 않으려는 경향이다. 결원이 이어진다.
하지만 축산이 활성화된 시·군·구 상황은 다르다. 할 일이 많고, 활동수당도 꽤 된다.
구제역백신 접종도 그중 하나다. 공수의는 인기직종이 된다.
해당 시·군·구 소속 공수의는 그 자격을 유지하려고 애쓴다. 신참이 들어갈 자리는 비좁다. 이에 따라 일부 지자체는 공수의 정년(70세 등)을 두기도 했다.
그렇다고 해도 전체적으로 공수의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공수의 한명이 200여 농가, 5천여 마리의 소를 관리하기도 한다.
산업동물 수의사 인력풀…유인책 절실
산업동물 수의사가 공수의사 인력풀이 된다. 하지만 산업동물 수의사 수가 너무 적다. 노령화도 가파르다. 공수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돈이 되면 사람이 몰리기 마련이다. 그렇지 않다면 외면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다.
우선 제도적으로 산업동물 수의사 진출을 이끌어낼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수당 인상 등 공수의 지원책이 요구된다. 공수의 수도 늘려가야 한다.
결국 농장은 농장 스스로 지켜야 한다. 예를 들어 구제역백신 접종 시 공수의에게 적극 협조해 누락, 미흡 등을 차단해야 한다.
농식품부는 공수의를 활용하는 방역정책을 발굴하는 등 공수의 관련 제도개선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