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올 10월 경기도 하남의 아파트를 계약한 직장인 장 아무개 씨(40세). 올해 말 잔금을 치러야 하는데, 최근 대출을 알아보다가 비상이 걸렸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
계약 직후 상담을 했을 때는 4%대 초반을 얘기했지만, 최근에는 금리가 4.3~4.4%라는 것. 특히 12월 말이 되면 5%대에 육박할 수 있다는 얘기를 대출 상담사에게 들었다.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아는 탄탄한 회사에 다니는데도 그렇다. 더 큰 비상은 ‘올해 대출 불가’ 가능성까지 나온다는 것이다. 몇몇 은행은 아예 대면 대출을 중단하는 분위기로 가고 있기 때문. 이에 장 씨는 매도인 측에 양해를 구하고 내년 초로 잔금을 미뤄야 하나 고민하고 있다.

부부 합산 소득이 세전 3억 원이 넘는 40대 중반 직장인 김 아무개 씨도 당황스럽긴 마찬가지다. 김 씨는 기존에 보유하던 25억 원 상당의 아파트를 처분하고 강남 반포 아파트를 매수하기 위해 임장을 갔다가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입구 컷’을 당했다.
임장을 하고 싶다는 이야기하니 중개업소 사장이 대뜸 “대출이 되는지 알아보고 왔느냐”며 “대출을 끼고 집을 사는 거면 지금 여기서 대출이 된다는 것을 확인해달라”고 말했다. 김 씨는 곧바로 은행에 전화를 걸었다가 깜짝 놀랐다. 강남의 아파트 매매 시 주택담보대출이 안 되고, 생활자금대출로 1억 원만 가능하다는 답변이 돌아왔기 때문. 대출 없이는 집을 살 수 없는 김 씨는 결국 강남 아파트 매매를 포기했다.
부동산 가격과 대출금이 급격히 오른 탓에 은행들이 정부 눈치를 보며 대출 창구를 닫고 있다. 올해 11월 20일까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총 7조 8953억 원으로 집계됐다. 시중은행들이 금융당국에 제출한 올해 연간 증가 목표(5조9493억 원)를 32.7%나 넘긴 수준이다.
집값을 부양하는 한 축인 대출을 정부가 통제하는 분위기가 악순환의 시작이었다. 정부는 지난 6·27대책 발표 당시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를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줄여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그 사이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고, 매수자들은 대출을 일으켜 매수 행렬에 참여했다. 반면 정부 요청으로 가계 대출 목표치는 줄어들면서 결국 증가액이 목표치를 상회하게 된 것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1년 목표치에 따라 상반기에 가계대출을 내준 것이, 결국 줄어든 목표치 기준으로 ‘많이 내준 셈’이 된 것”이라며 “은행 대출이 부동산 가격 부양의 한 축이라는 비판을 받다 보니 4대 은행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라고 우려했다.
실제 은행들은 아직 12월이 되지 않았는데도 대출 창구를 닫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2일 올해 실행되는 주택 구매용 담보대출의 비대면 대출 채널을 중단했다. 24일부터는 대면 접수도 중단한다. 하나은행은 25일부터 올해 실행분 주담대와 전세대출 접수를 막기로 했고,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조만간 가계대출 접수 중단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앞선 직장인 장 씨는 “최근 부동산 매매가 줄어든 것은 대출이 어렵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든다”며 “부동산을 매수하면서 대출이 안 될까봐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올 줄은 몰랐다”고 하소연했다.
차해인 저널리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가장 보통의 투자] 가상자산 '보릿고개' 버티면 좋은날 다시 온다
· [알쓸비법] '플랫폼 규제' 앞에서 흔들리는 공정위…법원은 왜 잇따라 제동을 거나
· [AI 비즈부동산] 25년 11월 3주차 서울 부동산 실거래 동향
· [부동산 인사이트] 매매라는 환상을 버리고 전세라는 실체를 보라
· [단독] 윤 정부 '헐값 매각' 고가 국유부동산, 절반은 부동산개발업자 품으로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4대 은행 대출 문 닫자 단위 농협·인뱅에 수요 몰린다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U5NCST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