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태권도선수권·동계유니버시아드, 아·태마스터스 등 대표적 사례
'전북이냐 서울이냐' 올림픽 국내 유치도시 28일 대의원총회 최종결정
![](https://cdn.jjan.kr/data2/content/image/2025/02/13/.cache/512/20250213580219.jpg)
‘2036 하계 올림픽’ 유치 도전에 나선 전북이 ‘국가균형발전의 첫 걸음’을 주제로 지구촌 최대 축제인 올림픽을 준비하고 있다.
올림픽 국내 유치도시 후보 선정은 15일 후인 2월 28일 최종 결정된다. 이런 가운데 전북은 이미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및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 아시아·태평양마스터스대회를 순조롭게 치러낸 바 있다.
전북자치도체육회(회장 정강선)는 13일 “올림픽을 비롯한 대규모 국제 스포츠이벤트가 서울시라는 특정도시만의 잔치가 돼서는 안된다”며 “비수도권에서도 국제대회를 치를 수 있는 시설과 행정력, 환경 등도 다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의 경우 다양한 국제대회를 치러본 경험이 있으며, 이들 대회에서 이미 실력도 입증됐다.
무주·전주 동계유니버시아드(1997), 무주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2017), 아시아·태평양마스터스대회(2023) 등이 대표적 사례다.
△1997 무주·전주 동계유니버시아드
유니버시아드는 전 세계 대학생의 종합경기대회로 국제대학스포츠연맹이 주최하고 하계와 동계로 나뉘어 2년마다 개최하고 있다.
무주·전주 동계유니버시아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최됐던 유니버시아드 대회로 지난 1997년 1월24일부터 2월2일까지 무주와 전주 일원에서 펼쳐졌다.
총 48개국에서 약 1400명의 선수가 참가했고 스케이팅과 아이스하키, 쇼트트랙, 스키, 바이애슬론 등 7개 종목이 진행됐다.
스키와 바이애슬론 등 설상종목은 무주에서 스케이팅과 아이스하키 등 빙상종목은 전주에서 치러졌고 이 대회를 통한 생산유발효과는 약 8200억원 가량으로 나타났다.
△2017 무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무주는 태권도 종주국의 정통성을 상징하기 위해 개관한 태권도원이라는 경쟁우위를 내세워 대회개최를 놓고 경쟁한 튀르키예 삼순을 이기고 대회 유치에 성공했다.
1973년에 시작, 2년마다 열리는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는 오랜 전통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국제대회다.
이 대회는 ‘세계는 무주 태권도원으로, 태권도로 하나되는 지구촌’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2017년 6월24일부터 30일까지 7일간 무주에서 펼쳐졌다.
당시 세계태권도연맹 208개 회원국 중 183개 국가, 약 1800명의 선수와 임원 등이 참여해 세계선수권대회 개최 이래 역대 최대 규모로 성황리 치러졌다.
특히 이 대회에는 북한이 주도하는 국제태권도연맹(ITF) 태권도시범단의 방한 공연도 펼쳐져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기도 했다.
△전북 아시아·태평양마스터스대회
아시아·태평양마스터스대회는 전 세계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국제종합경기대회다.
이 대회는 2018년 말레이시아 페낭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후 전북은 제2회 대회를 치렀으며 코로나19 여파로 1년 연기 돼 2023년에 치러졌다.
‘하나 된 스포츠! 즐거운 어울림!’이란 슬로건으로 2023년 5월12일부터 20일까지 9일간 전북 일원에서 열렸다.
정식종목 24개, 시범종목 2개를 포함한 총 26개 종목에 전 세계 약 1만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체육을 통해 우의를 다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 올림픽 저력
이강모 kangm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