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새벽잠이 줄었네” 부모님의 이런 호소에 좀 더 귀기울여야 할 이유

2025-10-06

수면 부족, 노화 과정서도 나타나지만

장기화하면 치매 진행 위험 높일 수도

명절을 맞아 찾아뵌 부모·친척이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깊은 잠에 들지 못하고 수면 부족을 호소한다면 적극적인 치료를 권유하는 것이 좋다. 수면시간이 짧아지는 현상은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에서도 나타나지만 수면장애가 장기화되면 치매로 진행될 위험을 높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의학적 관점에서 치매는 인지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태를 뜻한다. 단일한 질환이 아니라 현재까지 70여종의 다양한 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억력과 주의력 등이 떨어지는 인지기능 저하가 치매의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그밖에 수면의 질 저하 및 수면장애 역시 치매 환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진산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수면 부족은 전반적인 뇌 대사 기능과 노폐물 처리 능력을 저하시켜 인지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특히 깨어 있는 동안 뇌에 축적돼 수면 욕구를 촉진하는 ‘아데노신’의 대사 활동이 교란되거나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등의 대사산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2021년 영국에서 진행된 장기 추적 연구에서도 하루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인 사람은 7시간 이상 자는 사람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30%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진산 교수는 “좋은 수면은 잠을 자는 동안 깨지 않고 깊은 수면에 들어가 뇌가 정상적으로 회복하는 것”이라며 “숙면을 위한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은 치매 예방의 필수”라고 조언했다.

다만 기억력이 평소보다 떨어졌다고 해서 치매라고 섣불리 판단해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어느 정도는 인지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검사를 통해 정상적인 노화인지 치매 또는 그 전단계에 해당하는 경도인지장애가 진행 중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치매는 크게 퇴행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로 구분하는데, 전체 치매 환자 중 60% 이상의 원인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대표적인 퇴행성 치매다. 이와 구분되는 혈관성 치매는 뇌경색, 뇌출혈 이후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뇌기능 장애로 퇴행성 치매와 달리 기억력 저하와 성격 변화, 우울감, 보행장애 등의 증상이 비교적 급격히 악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치매 진단을 받은 가족이 있다면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한 치료제를 적절히 복용할 수 있게 돕는 것도 중요하다.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중 44%는 치료를 시작한 1년 내에, 30%는 90일 내에 치료제 복용을 중단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기 때문이다. 인제대 일산백병원 신경과 이영건 교수 연구팀이 2018~2020년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 50만8958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국내 최대 규모 실태조사에 제시된 결과다.

치매 치료제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등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와 메만틴 계열의 NMDA 수용체 차단제가 대표적이다. 이들 모두 인지기능 저하를 늦추는 데 목적이 있어 꾸준히 복용을 지속하는지에 따라 환자의 증상 악화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연구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지역에 따라 복용 중단 비율이 차이를 보였다는 점이다. 동일하게 치매 전문 진료를 받았더라도 서울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보다 지방에서 받은 환자의 복약 중단 위험이 최대 75%까지 높았다. 여기엔 환자당 전문의 숫자가 관련됐는데, 어쨌든 치매 환자인 가족이 비교적 전문의가 부족한 지역에 살고 있다면 복약 관리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영건 교수는 “치매 치료는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꾸준한 복약이 매우 중요하고, 중단할 경우 인지기능 저하가 가속화될 수 있다”며 “초기 3개월간 전문의 진료와 보호자의 관심이 복약 순응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므로 의료진과 보호자 간의 긴밀한 소통과 지속적인 복약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