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2.0 가장 타격 큰 산업은 자동차, 고강도 압박 가능성에 업계 초긴장... "파고 넘기 위해선 산업 지원 절실"

2025-01-20

트럼프 언행과 맥락으로 산업 전망하기 매우 어려워

1기때도 FTA 주 협상 내용이 자동차 산업, 최근 대미 흑자 커진 현재 고강도 압박 가능성↑

업계, 내수진작 위한 전기차 구매지원&첨단기술 규제 완화 한 목소리

[녹색경제신문 = 김지윤 기자]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이 당일로 다가오며 자동차 업계의 긴장감이 특히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취임으로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산업계에 지각 변동이 예상되는 가운데 자동차 산업의 타격이 특히 클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는 대미수출이 특히 높은 수출 품목으로 2024년 대미 수출액은 391억 달러에 달한다. 수입은 23억 달러에 그쳐 미국 입장에서 보면 약 370억 달러 수준의 무역 적자가 나고 있는 셈이다.

2018년 트럼프1기 FTA 재협상에선 미국산 자동차의 한국 수출을 연간 5만대로 늘리고 (기존 2만 5000대에서 2배 증가), 한국산 픽업트럭에 25% 관세를 2041년까지 부과하는 등 자국 산업 보호 명목으로 국내 기업에 혹독한 조처가 취해졌었다.

사상 최대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한 국내 자동차 산업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어떤 제재를 가할 지 귀추가 주목되는 이유다.

트럼프 2.0 출범에 업계·정부 초긴장모드, 국회 간담회에서 나온 내용 살펴보니...

20일 국회에서 진행된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 : 자동차 산업’간담회에(민주당 강훈식 의원, 민주연구원 주최) 참석한 자동차 산업 관계자들은 불확실한 미국 정세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내 제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간담회 강연을 맡은 박성규 HMG경영연구원 상무는 "한국 자동차 산업은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어떤 형태로든 고강도의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트럼프 개인의 특성상 언행과 맥락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워 조기 대응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대자동차 내부에서는 개별 사업부 별로 진행 중이던 크고 작은 프로젝트들이 관세 이슈로 인해 잠정 중단된 것으로 전해진다.

박성규 상무는 이어 "국내 자동차 산업은 289조원 규모의 제조 상품을 만들고, 42조원 가량의 세수를 창출해 내는 국내 핵심산업인 만큼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산업 피해를 최소화해야한다"고 말했다.

주요 건의는 내수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를 늘리기 위한 지원 확대다. 보조금 및 세제지원 확대, 충전요금 할인특례 부활, 전기차 고속도로 전용차선 어용 등 전기차 내수를 키울 수 있는 정책들이 주요 건의사항에 포함됐다. 내수시장은 국내 생산 차가 9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진 만큼 내수 시장이 커지면 그 이익이 고스란히 국내 기업에게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또한 첨단 기술 개발을 위한 규제 개혁에 대한 목소리도 있었다. 이날 간담회에서 또 다른 강연을 맡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김주홍 전무는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및 국내상용화 조기실현을 위해 규제 개혁이 절실하다"며 "인프라 확대, 자율주행 규제 완화 구역,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에 국가가 적극적으로 힘을 실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전무는 이어 "최대 호실적을 기록한 2024년과 달리 트럼프 체제에서는 대미 수출이 불확실해지며 국내 자동차 산업계는 미국 밖의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에 완성차 15만대 규모, 베트남에 20만대 규모의 공장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며 르노코리아도 2025년부터 베트남 현지생산을 판매 계획하고 있다"고 밝히며 국내 자동차 업계의 치열한 생존 전략을 피력하기도 했다.

김지윤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