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가 체감온도가 35도를 넘나드는 혹서기 환경에서 선수들이 제대로 된 보호 없이 경기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사단법인 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 김훈기 사무총장은 4일 "습구흑구온도(WBGT)가 35도 이상이면 이미 응급상황이고, 33도부터는 경고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며 "선수의 경기력보다 생명이 먼저다. 지금은 보호 장치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WBGT는 기온과 습도, 태양 복사열, 바람을 종합해 고온에 따른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지표다.

김훈기 총장은 K리그와 WK리그뿐만 아니라 초·중·고·대학 대회를 포함해 여름철 모든 레벨에서 혹서기 경기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훈기 총장은 "아마추어의 경우는 정말 심각하다. 선수들은 대부분 천막 아래에서 쉬고, 냉방 장치는 선풍기뿐이다. 에어컨이 가동되는 곳은 별로 없다"며 "지난해 8월 여자 선수권대회에서도 무더위 속 탈진 위기가 반복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훈기 총장은 "프로는 물론이고 아마추어 선수들도 낮 경기 일정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인조 잔디 구장은 열을 머금어 체감온도가 40도를 넘기기도 한다. 선수들 사이에서도 '도저히 회복할 틈이 없다'는 말이 나온다"며 "무더위 속 강행군은 곧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프로축구선수협회는 혹서기 경기 환경 개선을 위해선 WBGT 기준 실시간 온도 측정, 야간 경기 확대, 상시 냉각 장비와 회복 공간 설치, 열 적응 훈련 의무화, 하프 타임 연장 및 쿨링 브레이크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총장은 "선수를 얼마나 안전하게 뛰게 할 것인지가 더 중요해진 시대"라며 "경기력 이전에 생존권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선수협은 국내 리그 운영 및 대회 방식 전반에 대해 관계 기관과 함께 개선 논의에 착수할 계획이다.
thswlgh5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