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월 망분리 보안 모델의 재검토를 계기로 국가 보안체계(N2SF) 가이드라인 1.0이 공식 배포됐다. 목적은 분명하다. 인터넷·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공공에 안전하게 도입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빠르게 진화하는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 국가 사이버 보안 체계 개편과 맞물려 N2SF는 시장의 활력을 키웠고, 공공·민간 모두에서 선제 도입과 기술 연구개발(R&D)의 속도를 끌어올렸다.
N2SF의 핵심 개념은 데이터의 흐름(이동 경로)을 위치·주체·객체 관점으로 식별하고, 데이터 중심의 기밀(C)·민감(S)·공개(O) 다중 보안 등급을 적용해 데이터의 보안 등급과 흐름에 따라 최적화된 보안 조건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내부망 중심의 단일 등급 보안 체계에서 벗어남에 따라 '통제할 수 없는 인터넷 연결을 막는 보안'에서 '목적과 위험에 맞춰 데이터 사용을 통제하는 보안'으로의 전환을 뜻한다.
문제는 구현이다. N2SF는 이름 그대로 네트워크 중심의 통제를 핵심으로 삼는다. '분리·연계·격리'라는 개념을, 50년 넘게 쓰여온 TCP/IP(인터넷 접속 표준 프로토콜) 기반 통신 스택 위에서 실용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매체 중심에서 네트워크 중심의 데이터 이동으로 시야를 바꾸면, 통제 불가능한 경로를 통한 데이터 유입·전파되는 요소까지 고려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크로스 도메인 솔루션, 세션 통제, 동적 정책 기반 라우팅, 동적 프로토콜 파싱, 데이터 가시화·라벨링·태깅 등 복합적 네트워크 설계가 필수다.
AI·클라우드·보안 빅테크의 기술 발전 속도는 하루가 다르다. 가이드라인 공개 시점 이후, 국내 기술 우위만으로 시장을 방어하기는 쉽지 않다. 더구나 복잡해진 공급망 생태계는 공격 표면을 끝없이 확장한다. 지속적 R&D와 표준화된 상호운용성 없이는 경쟁력이 빠르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는 오래전부터 '소버린' 가치를 강조해 왔다. 그러나 글로벌 빅테크 기술의 사용을 전면 배제하는 방식으론 현실의 효용을 담보하기 어렵다. 관건은 배제가 아니라 통제 가능한 데이터 주권이다. N2SF는 데이터 중심 네트워크 보안 모델이다. 잘 적용하면 자연스럽게 보안 수준이 오르고, 실질적으로 데이터의 유입·유출·사용을 가시화·통제하는 체계가 열린다. 이는 곧 AI와 클라우드 사용의 통제, 불필요 데이터 이동의 차단, 업무 목적 외 사용 방지로 이어진다.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는 가장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N2SF는 '연결을 막는 보안'에서 '통제 가능한 연결'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이 전환은 단순한 기술 선택이 아니라 데이터 주권을 제도·기술·운영으로 구현하는 선언이다. 통제의 논리를 갖추면, 우리는 AI·클라우드 시대의 공공 혁신을 신뢰 가능한 속도로 추진할 수 있다. 이제 남은 과제는 분명하다. 잘 구현된 N2SF를 국가 인프라로 격상해, 보안을 넘어 데이터 주권·기술 경쟁·서비스 산업 성장의 세 축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다.
N2SF는 보안 가이드라인을 넘어 데이터 주권의 운영 체계이자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전략 플랫폼으로써, 빅테크의 신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하고, 보안으로 인해 발전이 더디었던 국내 기업의 서비스 환경을 개선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 호환성과 신뢰성으로 승부할 수 있다. 지금 그 전환점에 와있다.
김영랑 프라이빗테크놀로지 대표 benjamin@pribit.com
![[ET단상]폐쇄망 환경에서 AI 에이전트 구축 성공하려면](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15/news-p.v1.20251015.b0bcaeb3452d4addbe698523ca8a7141_P3.jpeg)


![[사이언스온고지신]'AI 반도체 선점'이 살 길이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3/news-p.v1.20251103.2f9c4644482e40b2bf4c0a4c28d847fe_P1.jpg)
![[GAM]엔비디아 양자 인프라 표준 장악 ① NVQLink 왜 혁신인가](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글로벌NOW] 지구촌 덮친 新 산업 혁명, ‘성장·규제·재앙’ 경계서 묻는 미래 해답은?](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145/art_17621703772512_817d73.png?iqs=0.8744891649884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