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이 일상과 산업 전반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AI 컴퓨팅 인프라와 통신 인프라의 고도화가 모두 필수적이라는 제안이 나왔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AI 확산 시대에 필수적인 이동통신 인프라 고도화의 방향을 모색하고 정책적 해법을 담은 ‘AI 이동통신 인프라 고도화의 주요 쟁점’을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 AI·디지털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특집호’의 네 번째 보고서다. 보고서는 “AI가 국민 일상생활과 산업 전반에 폭넓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AI 컴퓨팅 인프라(AI Computing Infrastructure)와 AI에 대한 안정적 접근성을 보장하는 AI 통신 인프라(AI Telecom Infrastructure) 양축의 고도화가 모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따.
하지만 국내 이동통신 인프라 고도화는 5G 도입 이후 정체돼 있으며 이로 인해 AI 시대의 연결 인프라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없을 것이란 구조적 우려도 나온다. 보고서는 “현행 5G NSA(Non-Stand alone) 방식이 고착되고 인프라 고도화가 지연되면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같은 5G 고유 서비스 발굴 지연으로 이어져 이용자 및 산업의 고도화된 서비스 경험을 저해하고, 결국 국가 AI 경쟁력 하락으로 귀결될 위험이 크다”고 언급했다. 5G SA 이동통신 인프라 및 서비스의 고도화를 촉진하고, 전략산업으로서의 인프라 산업 진흥을 촉진하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보고서는 고도화된 이동통신망을 경제적이고 기술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주파수 공급, ‘서비스 품질 보장제’ 이슈 부각에 대한 대비, 국민의 보편적 AI 인프라 접근성 확보를 위한 보편적 서비스의 제공 방식 대응 방안 검토 등을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통신사간 설비기반 경쟁을 촉진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 배분 방안 마련과 더불어, 이동통신 인프라 활용 산업 분야의 확대와 인프라 투자·구축 주체의 다변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미·중 패권 경쟁 하에서 이동통신 인프라 산업의 전략산업으로서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직간접적인 산업정책의 확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NOW] 지구촌 덮친 新 산업 혁명, ‘성장·규제·재앙’ 경계서 묻는 미래 해답은?](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145/art_17621703772512_817d73.png?iqs=0.8744891649884986)
![[단독]AI 대전환 후속조치 마련 급물살…과기부·기재부 차관급 TF 공동 가동](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8KHZZG_1.jpg)

![[사이언스온고지신]'AI 반도체 선점'이 살 길이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3/news-p.v1.20251103.2f9c4644482e40b2bf4c0a4c28d847fe_P1.jpg)

![당국, 5조 규모 ‘조선·녹색산업’ 스케일업 펀드 추진 [AI 프리즘*스타트업 창업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6UZC04_1.jpg)